‘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국민께 상처드려 사과” [지금뉴스]
입력 2025.10.23 (10: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값이 떨어지면 돈 모아 집 사면 된다'는 발언과 전세 낀 매매, 갭투자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을 빚은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국민께 상처를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이 차관은 오늘(23일) 오전 10시쯤 국토교통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이 같은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차관은 "정책을 소상하게 설명하는 유튜브 방송 과정에서 내 집 마련에 꿈을 안고 열심히 생활하는 국민의 입장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갭투자' 논란에 대해서는 "배우자가 실거주를 위해 아파트를 구입했으나 국민 눈높이에는 한참 못 미쳤다는 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사과했습니다.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저 자신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겠다"며 "앞으로 부동산 정책 담당자로서 주택시장이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이 차관은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10·15 부동산 정책에 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주택 가격이 안정되면 그때 사면 된다. 만약 집값이 지금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그동안 소득이 오르고 자산이 쌓인 뒤 향후에 집을 사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습니다.
또, 이 차관의 배우자가 지난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아파트를 33억 5,000만 원에 매수했는데 14억 8,000만 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해 갭투자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아울러 2017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아파트를 6억 4,500만 원에 매수한 뒤, 현 정부 출범 직후인 6월 초 11억 4,500만 원에 팔아 약 5억 원의 시세 차익을 남긴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10·15 대책에서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어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갭투자를 원천 금지했습니다.
이 차관이 매매를 진행한 성남시 분당구와 수정구 역시 규제 지역에 포함돼 현재 전세 낀 매매, 갭투자가 모두 불가능한 곳인데 본인은 갭투자를 했다는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
(영상편집: 이채원)
이 차관은 오늘(23일) 오전 10시쯤 국토교통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이 같은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차관은 "정책을 소상하게 설명하는 유튜브 방송 과정에서 내 집 마련에 꿈을 안고 열심히 생활하는 국민의 입장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갭투자' 논란에 대해서는 "배우자가 실거주를 위해 아파트를 구입했으나 국민 눈높이에는 한참 못 미쳤다는 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사과했습니다.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저 자신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겠다"며 "앞으로 부동산 정책 담당자로서 주택시장이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이 차관은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10·15 부동산 정책에 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주택 가격이 안정되면 그때 사면 된다. 만약 집값이 지금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그동안 소득이 오르고 자산이 쌓인 뒤 향후에 집을 사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습니다.
또, 이 차관의 배우자가 지난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아파트를 33억 5,000만 원에 매수했는데 14억 8,000만 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해 갭투자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아울러 2017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아파트를 6억 4,500만 원에 매수한 뒤, 현 정부 출범 직후인 6월 초 11억 4,500만 원에 팔아 약 5억 원의 시세 차익을 남긴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10·15 대책에서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어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갭투자를 원천 금지했습니다.
이 차관이 매매를 진행한 성남시 분당구와 수정구 역시 규제 지역에 포함돼 현재 전세 낀 매매, 갭투자가 모두 불가능한 곳인데 본인은 갭투자를 했다는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
(영상편집: 이채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