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트럼프 굴복’ 대학들 작심 비판 “진보 신념? 패션일 뿐” [지금뉴스]
입력 2025.10.15 (07: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지 등 노선 변경을 요구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굴복해 거래나 합의를 한 기관들을 공개 비판했습니다.
현지시각 13일 미국 CNN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오바마 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코미디언 마크 매런의 팟캐스트 'WTF'에 출연해 트럼프 행정부에서 DEI 관련 정책들을 바꾼 로펌·대학·기업 등을 향해 신념을 지켰어야 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모두 입장을 밝힐 만한 역량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이 떳떳하게 입장을 표명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에 맞서는 대신에 슬그머니 굴복해버렸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신념이란 게, 아무 대가도 따르지 않는다면 그건 그냥 패션일 뿐이지 진짜 신념이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대학들에 대해선 학문의 독립성을 주문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연방정부의 지원금 일부를 잃는다면 아프겠지만, 그때를 대비해 적립금이 있는 것"이라며 "상황을 버텨낼 수 있을지 지켜보자. 우리는 기본적인 학문의 독립성을 훼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기업에는 다양성 채용을 철회하라는 압박에 맞서야 한다며 "이 나라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채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들 기관이 "우리는 스티븐 밀러가 만들어낸 기준에 따라 사람을 채용하거나 승진시킬 수 있다고 협박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밀러는 현 백악관 정책담당 부비서실장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 정책의 설계자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로펌, 기업들과 협상을 통해 DEI 목표를 축소하거나, 연방 자금 복원을 대가로 캠퍼스 내 '반 유대주의'를 억제해왔습니다.
워싱턴DC의 여러 대형 로펌들은 정부에 무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고, 대기업들은 슬그머니 DEI 프로그램을 축소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의 팟캐스트 발언, 영상에 담았습니다.
(영상편집: 임세정)
현지시각 13일 미국 CNN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오바마 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코미디언 마크 매런의 팟캐스트 'WTF'에 출연해 트럼프 행정부에서 DEI 관련 정책들을 바꾼 로펌·대학·기업 등을 향해 신념을 지켰어야 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모두 입장을 밝힐 만한 역량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이 떳떳하게 입장을 표명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에 맞서는 대신에 슬그머니 굴복해버렸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신념이란 게, 아무 대가도 따르지 않는다면 그건 그냥 패션일 뿐이지 진짜 신념이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대학들에 대해선 학문의 독립성을 주문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연방정부의 지원금 일부를 잃는다면 아프겠지만, 그때를 대비해 적립금이 있는 것"이라며 "상황을 버텨낼 수 있을지 지켜보자. 우리는 기본적인 학문의 독립성을 훼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기업에는 다양성 채용을 철회하라는 압박에 맞서야 한다며 "이 나라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채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들 기관이 "우리는 스티븐 밀러가 만들어낸 기준에 따라 사람을 채용하거나 승진시킬 수 있다고 협박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밀러는 현 백악관 정책담당 부비서실장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 정책의 설계자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로펌, 기업들과 협상을 통해 DEI 목표를 축소하거나, 연방 자금 복원을 대가로 캠퍼스 내 '반 유대주의'를 억제해왔습니다.
워싱턴DC의 여러 대형 로펌들은 정부에 무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고, 대기업들은 슬그머니 DEI 프로그램을 축소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의 팟캐스트 발언, 영상에 담았습니다.
(영상편집: 임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