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7개 전산망 마비'…이 대통령 밤새 점검, 김 총리 "국민께 사과"
등록: 2025.09.27 오전 10:47
수정: 2025.09.27 오전 10:51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정부 주요 전산망 647개가 중단되면서 사상 초유의 행정 마비 사태가 빚어졌다. 정부는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화재로 정부24, 국민신문고, 홈택스, 국민건강보험, 우체국 금융·우편 서비스 등 1등급 핵심 시스템을 포함한 다수 행정서비스가 차질을 빚고 있다고 밝혔다. 우체국 금융은 입·출금, 이체, 보험료 납부 및 보험금 지급 등 모든 서비스가 중단됐으며, 소방청 119 전화 신고는 가능하지만 영상·문자 신고 기능은 마비됐다. 차량 검사와 민원 처리도 지연되는 등 국민 불편이 속출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로 불편을 겪으실 국민들께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신속한 복구와 속도감 있는 조치를 통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모바일 신분증과 택배 수령 등 현장에서 차질이 예상되는 부분은 실물 신분증 준비 안내 등 사전 공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화재 직후 국가위기관리센터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고 밤새 상황을 점검했다. 대통령은 “전 부처가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즉시 대응할 것”을 지시하며 데이터 손상 여부와 백업 체계까지 철저히 확인하라고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 생활과 직결된 시스템인 만큼 불확실성을 줄이고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라”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교통민원24, 세움터 등 대체 사이트를 안내하며, 국민들이 서비스 이용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한편 이번 화재는 전산실 내 리튬배터리 교체 과정에서 폭발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소방당국은 소방차 63대와 인력 171명을 투입해 밤샘 진화작업을 벌였다.
정부는 화재 원인 규명과 함께 백업 시스템 및 비상 대응 매뉴얼 작동 여부를 전면 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