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북핵 동결, 임시조치로 현실적"…대통령실, 비핵화 대신 '핵 없는 한반도' 표현
등록: 2025.09.22 오후 21:18
수정: 2025.09.22 오후 22:16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외신 인터뷰에서 북핵과 관련해 동결을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과 북한이 합의하면 받아들이겠다는 건데, 비핵화가 장기적 목표라고 단서는 달았지만, 사실상 북한의 핵보유를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많습니다.
이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재명 대통령은 영국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핵무기 생산 동결에 합의하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북한 비핵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포기하지 않는 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중단은 명백한 이점이란 겁니다.
이재명
"잠정적으로야 얼마든지 동의할 수 있죠. 그것이 현실이니깐. 실현 가능한 현실적인 대안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비핵화 해법은 '중단→축소→폐기' 3단계로 구성되는데, 미국과 북한이 첫 단계에 합의하면 받아들일 수 있단 취지로 해석됩니다.
대통령실은 "북미 대화 지원 등 핵 없는 한반도와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나갈 것" 이라면서도 '비핵화'란 표현은 따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통일부 역시 남북관계 개선에 무게를 뒀습니다.
구병삼 / 통일부 대변인
"통일부는 북측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재확인합니다."
이 대통령이 북핵 폐기가 아닌 동결을 언급한 것을 두고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용인하는 것 아니냔 지적이 나왔습니다.
송언석
"결국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지위를 인정하겠다는 뜻으로. 대한민국 안보와 직결된 매우 심각한 발언"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는 SNS에 "이 대통령이 사실상 북한 비핵화를 포기한 것 아니냐”며 "김정은에 약점 잡혔을 가능성 있는 대통령이 독단적으로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비판했습니다.
TV조선 이태형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