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스뉴스까지...'트럼프 국방부 보도지침'에 미국 언론 집단행동
미국 국방부 출입기자들이 지난 15일(이하 현지시간) 일제히 국방부를 떠났다. 국방부가 허가한 내용만 기사화해야 한다는 새 보도지침을 내리자 기자들이 이에 거부해 국방부 출입을 보이콧한 것이다. 뉴욕타임스·CNN·워
2025.10.16. -
美지역언론 기자들, 찰리 커크 비판 내용 무단 삭제에 사표
미국의 우익 활동가 찰리 커크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공화당 주의원 항의 뒤 기사에서 무단으로 삭제되자 해당 기사를 작성했던 미 지역언론 기자들이 공동 사직서를 제출했다.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미 알래스
2025.10.10. -
트럼프, 이번엔 허가받지 않은 정보 취재하면 출입 정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언론탄압 시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국방부도 출입 기자들이 허가받지 않은 정보를 취재할 경우 출입을 취소하겠다는 내용의 취재·보도 준칙을 발표해 언론계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미국
2025.10.09. -
FCC 위원 "미국 언론, 트럼프 행정부에 항복하지 말라"
우리나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성격인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이하 FCC) 위원이 트럼프 행정부의 언론탄압 행태를 비판하며 미국 언론도 트럼프 행정부에 굴복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언론사가 계속해서 트럼프 대통
2025.10.01. -
유튜브, 트럼프 계정 정지했다가 300억 합의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계정 정지와 관련해 유튜브에 제기했던 소송이 유튜브의 합의금 지급으로 마무리됐다. 유튜브가 패소할 가능성은 적었지만 "정부에 호의를 구하기 위해" 소송을 종결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5.10.01. -
"90%가 좌파 문제" 미국 유튜버들이 찰리 커크 사망을 다루는 방식
유튜브, 트위치 등 플랫폼에서 뉴스를 전달하는 미국 인플루언서들은 찰리 커크의 피살을 보도하면서 상대 진영에 대한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사실관계 중심으로 부고를 전하는 기성 언론과 대비되는 방식이다. 미국
2025.09.30.
많이 본 연재
연재 내 기사의 조회수 순입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입니다.
-
1
폭스뉴스까지...'트럼프 국방부 보도지침'에 미국 언론 집단행동
미국 국방부 출입기자들이 지난 15일(이하 현지시간) 일제히 국방부를 떠났다. 국방부가 허가한 내용만 기사화해야 한다는 새 보도지침을 내리자 기자들이 이에 거부해 국방부 출입을 보이콧한 것이다. 뉴욕타임스·CNN·워
-
2
美지역언론 기자들, 찰리 커크 비판 내용 무단 삭제에 사표
미국의 우익 활동가 찰리 커크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공화당 주의원 항의 뒤 기사에서 무단으로 삭제되자 해당 기사를 작성했던 미 지역언론 기자들이 공동 사직서를 제출했다.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미 알래스
-
3
트럼프, 이번엔 허가받지 않은 정보 취재하면 출입 정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언론탄압 시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국방부도 출입 기자들이 허가받지 않은 정보를 취재할 경우 출입을 취소하겠다는 내용의 취재·보도 준칙을 발표해 언론계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미국
-
4
FCC 위원 "미국 언론, 트럼프 행정부에 항복하지 말라"
우리나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성격인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이하 FCC) 위원이 트럼프 행정부의 언론탄압 행태를 비판하며 미국 언론도 트럼프 행정부에 굴복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언론사가 계속해서 트럼프 대통
-
5
TV에서 '방송' 아닌 '유튜브' 보는 시대
미국에서 스마트폰보다 TV로 유튜브를 보는 시청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V화면 속에서 방송이 넷플릭스 등 구독형OTT뿐 아니라 유튜브와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다. 닐 모한 유튜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
미국에선 젊을수록 틱톡이 뉴스 소비 '대세' 플랫폼
숏폼 플랫폼 틱톡이 미국에서 뉴스플랫폼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틱톡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틱톡을 통해 정기적으로 뉴스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반면 유튜브에서 뉴스 정보를 얻는다는 유튜브 이용자는 41%
2025.09.26. -
틱톡 미국 사업권, 중국 벗어나 '트럼프 측근'에 넘어가나
틱톡이 '미국 사업 종료' 위기에서 벗어나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평가받는 래리 엘리슨의 오라클과 대표적 친미 국가인 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가 틱톡 미국 사업권을 인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2025.09.26. -
"20조 손해배상" 트럼프 언론탄압 시도, 법원서 제동 걸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뉴욕타임스 탄압 시도에 제동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당시 뉴욕타임스 보도를 문제 삼아 20조 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출한 소장에 정치
2025.09.21. -
극에 달한 트럼프 언론탄압, 뉴욕타임스에 '20조' 손해배상 요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언론탄압 수위가 극에 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타임스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자신에게 비판적 보도를 했다며 최근 20조9000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최근 사망한
2025.09.19. -
중국이 틱톡 넘겼다… 미국 사업권 美기업이 인수 가닥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이 미국 기업에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새로 법인을 세우고 미국 기업 오라클 등이 투자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에 호응해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는 '틱톡금지법'의
2025.09.17. -
'우익' 찰리 커크 사망 논평했다가...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해고'
미국 우익 활동가 찰리 커크 사망 이후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백인들의 무관심을 개인 소셜미디어에서 비판한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가 해고됐다. WP 오피니언부에서 11년 동안 칼럼을 써온 캐런 아티아는 지난
2025.09.17. -
"AI 요약 때문에 매출 감소" 구글, 美 언론사와 소송 중
구글 AI 요약 서비스 '오버뷰'가 언론사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매출에 악영향을 준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대중문화 잡지 롤링스톤·빌보드 등을 발행하는 미디어그룹 펜스키미디어가 구글 오버뷰 때문에 트래픽이 줄
2025.09.16. -
머독 미디어 제국, '트럼프 지지자' 장남에게 상속된다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 일가의 상속 전쟁이 장남 라클란 머독(Lachlan Murdoch) 승리로 마무리됐다. 장남 라클란 머독이 지주회사 지분을 소유하고 다른 자녀들은 합의금을 받고 지분을 포기하
2025.09.11. -
미국인 절반 "논평 붙이는 '시사 유튜버'는 언론인 아니다"
미국인 약 절반 정도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에 콘텐츠를 올리는 사람들은 '언론인'(저널리스트)이 아니라고 답했다. 조사 결과 직접 취재 후 보도하는 사람이 언론인이라는 응답이 취재된 사안에 대해 논평하는 사람이 언론
2025.09.07. -
이젠 TV 대신 팟캐스트? 테일러 스위프트 '깜짝출연'의 의미
미국 최고의 스타 테일러 스위프트가 팟캐스트에 출연해 자신의 열두 번째 앨범을 최초로 공개했다. 유명인 입장에서 불편한 매체 인터뷰보다 친밀감을 주는 뉴미디어에 출연하는 것이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됐다는 분석이다.
202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