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종교 지도자, 북만주 망명 항일투쟁... 독립운동 모금 활동도
일제강점기 항일 독립운동을 한 세력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게 종교계이다. 천도교(동학)는 3.1운동을 주도하고, 6.10만세운동과 멸왜기도운동을 벌였으며, 전북 정읍에 본소를 둔 보천교는 상하이 임시정부에 막대한 독
2025.10.19. -
"2000만 원한 갚겠다"… 을사오적 처단 위한 비밀단체
을사오적을 처단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다. 그중에서 매우 조직적 체계적으로 진행된 것이 1907년 '자신회' 사건이다. 전국적으로 조직을 구축하여 자금과 총기를 확보했고, 결사대를 꾸려 암살을 시도했다. 비록 실
2025.10.12. -
광복회·광복단결사대 조직… 조선총독·친일파 처단 시도
한훈은 평생 항일 의열투쟁을 벌인 독립운동가이다. 애국지사 대부분이 처음에 민족계몽이나 실력양성 운동을 벌이다가 무장투쟁에 나섰지만 그는 초지일관 친일 관료와 경찰, 일제 고위관료를 처단에 몰두했다. 친일 부호와 악
2025.09.29. -
日 기습 공격에 치열한 전투… 부하들과 전사
평생 독립운동을 한 인물 중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례가 꽤 많다. 인생을 송두리째 바쳐 치열하게 살다갔지만 너무 일찍 죽거나, 그 업적이 묻히거나, 저평가되었기 때문이다. 충남 계룡 출신의 항일 무장 독립투쟁가 하산
2025.09.21. -
교육·계몽·종교운동 헌신… 평생 항일의 길
1905년 일제가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 강압통치를 하던 때였다. 월남 이상재가 미술단체 행사에 갔는데 마침 초대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와 매국노 이완용과 송병준도 와있었다. 월남이 비
2025.09.14. -
만주에 아나키즘 실현...독립운동기지 건설 추진
◇김종진과 함께 독립운동을 벌인 아나키스트들 김종진은 1927년 10월 하순 북만주 하이린(해림)에 도착, 김좌진을 만났다. 홍성 출신의 6촌형 김좌진은 청산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후 북만주의 여러 독립운동단체가
2025.09.07.
-
독립운동 방법론 고민… 이회영 만나 아나키스트 활동
김종진의 삶을 좇다보면 인생이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갖게 된다. 그는 자신의 믿는 아나키즘을 바탕으로 독립운동을 펼치다가 30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떴다. 머나먼 중국의 하이린(해림)에서 그것도 누군가에게 납
2025.08.31. -
승려·시인·사회운동가… 평생 굽히지 않고 독립운동
만해 한용운은 1879년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아버지 한응준과 어머니 온양 방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양반 집안이지만 가세는 평범했던 것으로 보인다. 6세 때부터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는데 <대학>에 있는 정
2025.08.24. -
유인석, 을미의병 주도… 항일 무장투쟁 불씨 지펴
일제의 침략이 시작되는 시기, 한반도에서는 3차례에 걸쳐 의병이 크게 일어났다. 맨먼저 일어난 을미의병은 1895년 단발령을 내린데 분노하여 일어났고, 을사의병은 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아간 을사늑약에 반
2025.08.17. -
아나키스트 이론가… 독립운동·혁명·농업 독특한 이력
유자명은 '숨은 인물' '배후 인물' 같은 독특한 독립운동가이다. 광복을 위해 의열단과 아나키스트 운동,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열렬하게 일했지만 크게 도드라지지 않는다. 빼어난 실력을 갖춘 이론가로서 널리 소통하고 아
2025.08.10. -
신문물·문화 수용… 민족의식 자각하고 독립운동 나서
충북 청주의 고령 신씨 문중은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했다. 지금까지 밝혀진 청주지역의 고령 신씨 독립유공자만 해도 신규식 신채호 신백우 신홍식 신건식 등 16명에 이른다. ◇충북 청주의 고령 신씨 문중 충북 청주시
2025.08.03. -
무력투쟁론 앞세워 독립 추구… 뤼순감옥서 순국
1919년 단재 신채호는 3.1운동 소식을 듣고 베이징을 떠나 상하이로 가서 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국내와 중국, 만주, 러시아, 미국에서 상하이에 모여든 독립운동가들은 임시의정원(국회)을 구성하고 나라 세우기(건국
2025.07.27. -
민족사 앞세워 한평생 치열한 독립투쟁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의 명언들이다. 그가 지은 <조선상고사> 총론에 등장하는 문장이다. 단재는 여기서 "역사는 무엇이뇨? 일개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
2025.07.20. -
중국 신해혁명 핵심들과 교류… 상하이 임시정부 터 닦아
당시 상하이는 세계 각국이 조계를 설치하고 무역활동을 벌이는 동서양 문물의 용광로였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혁명가들이 넘치는 국제도시였다. 예관은 상하이에서 천치메이 쑨원 등 중국혁명동맹회 간부들과 교류하게 된다.
2025.07.13. -
상하이 망명·독립운동… 43년 일생 조국광복 몸 바쳐
말쑥한 양복 차림에 까만 색안경, 카이젤 수염…. 한쪽을 흘겨보는 듯한 독특한 얼굴…. 여느 독립운동가와는 사뭇 다른 예관 신규식의 이미지이다. 겉만 보면 평안하고 모던한 삶을 산 것처럼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2025.07.06. -
타고난 군사 이론가 … 청산리전투 잊혀진 영웅
전쟁과 전투에 수많은 군인이 등장하지만 역사에 남은 인물은 극소수이다. 그 많은 사람을 기록할 수도 없거니와 구태여 그 이름을 남기지도 않았다. 부여 출신 검추 박영희 장군을 학계에서는 '청산리전투의 잊혀진 영웅'이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