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가 경력은 있으신가요?
얼마 전 언론을 통해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일대를 정비한다는 소식을 접했다. 그곳에서 하루를 보내던 어르신들을 시설이 좋은 인근 노인복지센터 등으로 옮기도록 했다고 한다. 예상대로 반대는 심했고, 아직 일부는 자리를
2025.09.17. -
세대 간 소통의 장 만들자
세대 분류가 아주 다양해졌다. α세대, Z세대, M세대, MZ세대, X세대, 베이비붐 세대, 신중년 세대, 신노년 세대 등 이렇게 다양한 세대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세대 간 통합과 이해는 과거처럼 간단한 것이 아
2025.08.20. -
이재명 정부 노인 공약 읽기
우리나라는 지금 최고 수준의 노인 인구 증가율 경로를 지나고 있다. 2020년 820만의 노인 인구는 2030년 1300만이 돼 증가율이 무려 58.3%에 달한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일이다. 부산의 노인 인구 증가
2025.07.23. -
'나이×0.8'인 시대
요즘 TV에서 나오는 공익광고 중에 이제는 ‘나이×0.8’(나이 곱하기 0.8)을 해야 예전의 나이와 동일하다는 내용의 광고가 있다. 평소 그냥 흘려보내는 광고가 많았지만,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광고였다.
2025.06.25. -
노인이 행복한 미래 도시
최근 일본 다카치오 대학의 교수와 함께 한국, 일본, 대만의 40대 이상을 대상으로 독립심 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면서 한일 두 나라 중년층 이상의 태도를 비교할 수 있었다. 아직 세부적 결과 분석이 남아 있지
2025.05.28. -
연령 차별과 연령 통합
좋은 사회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는다. 그래서 ‘개념 있는’ 선진 시민사회는 차별을 엄격히 금지하고 사회적 통합을 위해 노력한다. ‘똑같이 하나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이다. 이
2025.04.30.
-
노인은 변화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시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활기찬 노후를 지원하는 방안을 연구한 바 있다. 자원봉사활동 참가자와 노인복지관 선배 시민, 노인 일자리 참여자들 가운데 가장 활동적인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2025.04.02. -
노인 급식 이대로 좋은가
추운 날씨에도 무료급식을 위해 길게 줄 서 있는 노인, 급식표를 받지 못하면 식사 해결이 되지 않는 노인의 불만스러운 고함 소리, 홀로 사는 노인들의 식사를 챙기는 도시락 방문 서비스를 전하는 기관들의 구슬땀…. 오
2025.03.05. -
동네 돌봄 역량 국가
작년 12월로 노인 인구 1000만 명, 고령화율이 20%를 넘어 드디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다. 우리나라 노인의 18.6%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기능적 제한이 있고, 평균 2.2개의 만성질환이 있으며, 10.9%
2025.02.05. -
고령화와 출산율
정말 글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물고 새해를 맞았다. 지난해엔 사상 초유의 정치권 문제, 다양한 사건 사고로 하루가 다르게 새 뉴스가 언론을 장식했다. 사회 전체가 큰 혼란을 겪었던 한 해로, 속보만 뜨면
2025.01.01. -
신중년 일자리 사업의 희망
우리 부산은 인구의 절반이 50세 이상 인구로 채워지고 있다. 국가나 도시의 인구 변화는 중요한 의미다. 인구 소멸을 염려하기보다는 도전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초고령 사회를 기대하고 싶다. 과거에는 노인을 바라보는
2024.12.04. -
함께 나이 들기
지난달 부산에서 세계 94개국 1400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하는 제27차 세계자원봉사대회가 개최됐다. 전쟁 상흔 속에 세계 주요국의 원조로 회복의 계기를 마련했고 근대적 복지를 시작했던 부산이 이제는 세계의 자원봉사
2024.11.06. -
자동화 세상 적응하기
최근 물건을 인터넷으로 구입하면서 경험했던 일이다. 이제는 지번을 잘 쓰지 않기 때문에 도로명을 넣으면 자동적으로 아파트 이름이 나오기도 하지만 때론 잘 나오지 않을 때도 있다. 그리고 그때마다 느끼는 것이 있다.
2024.10.09. -
뭘 위한 의정 갈등인가
아침저녁으로 불어오는 바람의 소중함이 어느 때보다 귀하고 감사하다. 평생 경험해 보지 못했던 무더위와 해결되지 못한 우리 사회의 이념 대립을 지켜보며 무척 무더운 여름을 보낸 것 같다. 모든 일에는 각자의 입장과 견
2024.09.11. -
소득 절벽 앞 베이비부머
부산은 한국의 미래다. 총인구 감소는 부산이 전국보다 25년 빠른 1996년에 시작됐고,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20년 먼저 1998년에 시작됐다. 유소년 대비 노년 인구 역전은 부산이 전국보다 4년 빠르고, 출생인구
2024.08.14. -
노인 1000만 시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로 손꼽힌다. 내년 기준 전국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상태다. 앞서 2025년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라는 통계청 발
202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