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 명품 사나요”…싼커의 취향?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지면서 한국 찾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더 늘고 있는데요. 이제 이들을 '유커'가 아닌 '싼커'라 부른다고 합니다. 쇼핑 트렌드가 달라졌다네요. 장호림 기자가 경제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자] 친구들
2025.10.15. -
가정용보다 비싼 산업용 전기…눈물의 야근
최근 한밤중에 기계를 돌리며 일하는 공장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밤엔 인건비가 더 들 것 같은데, 왜 낮이 아닌 밤에 공장을 돌릴까요. 전기요금과 관련이 있다는데요. 그 실태를 경제카메라 김태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2025.10.01. -
홈플러스 이어 롯데카드까지…사모펀드 책임론
한때 ‘산업 구조조정의 마중물’로 불리던 사모펀드, 최근 평가는 다릅니다. 홈플러스 매각 논란에 이어 롯데카드 해킹 사태까지. 같은 사모펀드가 인수한 기업들에서 잇따라 문제가 불거지면서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025.09.24. -
치즈 줄이고 과일 빼고…새 정부 의식해 ‘꼼수 인상’
이재명 대통령이 연일 물가 안정을 강조하면서, 식품 업체들, 외식업계들 가격 인상에 정부 눈치 보는 분위기인데요. 그러다보니 가격 인상 대신 양을 줄이는 꼼수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치킨, 삼겹살 케
2025.09.17. -
재료비 238원인데…한국 빵값 비싼 이유?
요즘 비싼 빵값이 논란입니다. 실제로 빵이 외국에 비해 비싸긴 하거든요. <경제 카메라> 배정현 기자가 왜 그런지 샅샅이 추적을 해봤더니, 답이 나왔습니다. [기자] 우리나라의 빵값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시민들에게 물
2025.09.10. -
외국인 관광객도 발길…불붙은 지하상권
요즘 '점포정리' 푯말이 붙은 상점들, 거리를 걷다보면 심심찮게 보이죠. 불경기에 문 닫는 상점도 늘지만 지하 상가 점포들은 되레 활기를 찾고 있다는데요. 경제카메라 장호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달까지
2025.09.03.
많이 본 연재
연재 내 기사의 조회수 순입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입니다.
-
1
“외부인 못 지나가”…철옹성 쌓는 아파트
‘외부인 출입금지’ 신축 아파트 단지에 붙은 경고문인데요. 인근 주민들이 단지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담장을 두르고 입주자 전용 출입문을 만드는 등 철옹성을 쌓는 새 아파트 단지들이 늘고 있습니다. 길을 돌
-
2
“누가 명품 사나요”…싼커의 취향?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지면서 한국 찾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더 늘고 있는데요. 이제 이들을 '유커'가 아닌 '싼커'라 부른다고 합니다. 쇼핑 트렌드가 달라졌다네요. 장호림 기자가 경제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자] 친구들
-
3
가정용보다 비싼 산업용 전기…눈물의 야근
최근 한밤중에 기계를 돌리며 일하는 공장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밤엔 인건비가 더 들 것 같은데, 왜 낮이 아닌 밤에 공장을 돌릴까요. 전기요금과 관련이 있다는데요. 그 실태를 경제카메라 김태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4
홈플러스 이어 롯데카드까지…사모펀드 책임론
한때 ‘산업 구조조정의 마중물’로 불리던 사모펀드, 최근 평가는 다릅니다. 홈플러스 매각 논란에 이어 롯데카드 해킹 사태까지. 같은 사모펀드가 인수한 기업들에서 잇따라 문제가 불거지면서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5
치즈 줄이고 과일 빼고…새 정부 의식해 ‘꼼수 인상’
이재명 대통령이 연일 물가 안정을 강조하면서, 식품 업체들, 외식업계들 가격 인상에 정부 눈치 보는 분위기인데요. 그러다보니 가격 인상 대신 양을 줄이는 꼼수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치킨, 삼겹살 케
-
한의원서 침 맞고 찜찔방…“케데헌 보고 왔어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데헌' 열풍이 외국인들의 한국 관광 루트도 바꾸고 있습니다. 한의원, 찜질방 같은 케데헌에 스치듯 등장한 곳까지 외국인들이 몰리고 있다는데요. 경제카메라 김설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25.08.27. -
태권도장에서 학습지 풀고 밥 먹는다?…예체능 학원의 이유있는 ‘변신’
저출생 여파로 아이들이 줄면서 문 닫는 태권도장과 피아노 학원이 늘고 있는데요. 위기의 예체능학원들이 ‘올인원’ 육아시설로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맞벌이 부부들을 위해 돌봄과 놀이, 외국어 교육까지 한꺼번에 제공하
2025.08.20. -
‘마스가(MASGA)’에 날개 단 K-조선
한때 침체의 그늘이 드리웠던 조선업계가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신규 선박 수주가 꾸준히 늘고 있는데다, '마스가'로 대표되는 한미 간 조선 협력이 본격화 되면서 날개까지 달게 됐습니다. 경제카메라 김태우 기자입니다
2025.08.13. -
‘요양원 타운’ 된 학원가…고령화가 바꾼 도심
노인만 사는 마을, 이제 농촌만의 일이 아닙니다. 도시에서도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유명 학원가가 요양타운으로 변모했을 정도인데요. 고령화가 바꿔 놓은 도시의 모습을 여인선 기자가 경제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자
2025.08.06. -
“소변 튀는 변기”…모델하우스와 딴판인 시공
분명 모델하우스는 화려하고 멋졌는데 아파트에 들어가 보니 딴 판이라면 정말 황당하겠죠. 한 두 푼도 아니고 많게는 수십억 원 주고 분양받았는데, 조경도 복층의 층고도 다르고 화장실 변기마저 다릅니다. 경제카메라 오은
2025.07.30. -
주식 사야하나?…학원비 50만 원 내고 열공
코스피가 고공행진 하면서 지금이라도 사야 하나, 고민하는 분들 많죠. 그래서일까요? 주식 학원이 북적이고 있습니다. 50만 원이라는 학원비를 지불하고 열공하는 사람들을 경제카메라 배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25.07.16. -
마용성 진입 사다리 막은 대출 규제
이번 대출 규제로 부동산 시장에선 더 나은 곳으로 집을 옮기는 주거 사다리가 끊기게 됐다는 분위기입니다. 강남보다 더 타격을 받은 지역이 있다는데, 어디일까요? 경제카메라 김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에서 서울
2025.07.09. -
싼 게 비지떡…초저가의 배신
커피 값도 오르고, 라면 값도 오르고 안 오르는 게 없습니다. 이렇게 가격이 오르다보니 550원 라면, 2000원 커피 같은 초저가 상품에 눈이 가는데, 싼 게 비지떡일 수 있어 잘 따져봐야 한다고 합니다. 경제카메
2025.07.02. -
“계좌번호 나와요?”…불장에 달라진 부동산 거래
"계좌번호 나와요?" 이게 무슨 말인가 하실 텐데요. 서울 아파트 시장이 연일 오르는 불장이다 보니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계약을 파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죠. 그래서 계좌번호가 나와 있지 않으면 사람들이 매물로 믿지 않
2025.06.18. -
곤약떡볶이·김밥…저속노화 식단 ‘열풍’
저속노화 식단, 들어보셨나요? 건강한 식습관으로 신체 노화의 속도를 늦춘다는 건데요. 최근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다양한 제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말 효과가 있을지, 맛은 어떨지 궁금해지는데요. 경제카메라, 김태우기자
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