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 조여도…10억 아파트로 몰리는 눈길
정부가 강력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시장 안정에 나서고 있지만, 고액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력만 된다면 언제든지 10억원이 넘는 주택을 구매할 이들이 시장에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풀
2025.10.14. -
2차 소비쿠폰 어디서 사용했나…“20대 여가 지출 늘었네”
2차 소비쿠폰 결제 비중을 살펴보니 1차 때보다 여가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22~28일 엠브레인 패널딥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가장 큰 결제 비중을 차지한 업종은 1차에 이어 2차 역시 ‘편의점
2025.10.13. -
이자 못 내는 한계기업, 14년 만에 ‘최대’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비중이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비금융법인 외감기업 2만8751개 중 한계기
2025.10.01. -
‘보안 불감증’…공공기관도 똑같네
공공기관에서 유출된 개인정보 건수가 최근 2년 사이 6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가기관 개인정보 유출 규모는 2022년 65만건에서 지난해 391
2025.09.30. -
Made in China, 이제는 신뢰의 상징?
최근 중국산 전자제품의 기술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체감하는 소비자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소비자 사이에선 중국산 제품이 가격과 성능 측면에서 ‘합리적 선택지’로 여기는 여론도 강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
2025.09.24. -
지방 키운다지만…여전한 ‘수도권 쏠림’ 현상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41만8019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전출한 인구는 37만2850명으로 집계됐다. 4만5169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됐다. 순유입을 이끈 건 19~34
2025.09.24.
많이 본 연재
연재 내 기사의 조회수 순입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입니다.
-
1
韓 MZ세대 절반 “여행 예산 안 아껴”…지출 우선순위 살펴보니
한국 MZ세대가 글로벌 대비 여행 지출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여행 플랫폼 부킹닷컴이 전 세계 18~44세 여행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한국 MZ세대 53.5%는 “최고의 여행 경험을 위해 예
-
2
대출 조여도…10억 아파트로 몰리는 눈길
정부가 강력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시장 안정에 나서고 있지만, 고액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력만 된다면 언제든지 10억원이 넘는 주택을 구매할 이들이 시장에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풀
-
3
2차 소비쿠폰 어디서 사용했나…“20대 여가 지출 늘었네”
2차 소비쿠폰 결제 비중을 살펴보니 1차 때보다 여가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22~28일 엠브레인 패널딥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가장 큰 결제 비중을 차지한 업종은 1차에 이어 2차 역시 ‘편의점
-
4
이자 못 내는 한계기업, 14년 만에 ‘최대’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비중이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비금융법인 외감기업 2만8751개 중 한계기
-
5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삼성전자 아닌 ‘이 회사’
SK하이닉스가 ‘2025년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 조사에서 사상 첫 1위에 올랐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구직 중인 대학생 11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국내 증시 시가총액 상위 170개 기업 중 S
-
제조업 흔들리자…구직자당 일자리 0.4개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건설업은 불황 장기화에 가입자 수가 25개월째 줄었다. 국내 일자리 양대 축이 흔들리면서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0.44개로 내려갔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
2025.09.18. -
취준생 10명 중 4명 “취업 사교육 받는다”…가장 많은 분야는?
취업 준비생 10명 중 4명은 취업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R테크 플랫폼 잡코리아가 대학교를 졸업한 취준생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전체 응답자 중 42.9%는 ‘취업을 위한 사교육을 받는다
2025.09.18. -
스마트폰 없인 못 사는 10대들?
타 연령대 대비 유아동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 청소년 10명 중 4명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상태였다.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일상 영위가 힘들 정도로 스마트폰 사용
2025.09.12. -
인도 펀드 탈출 러시…올해 2614억원 유출
‘포스트 차이나’로 꼽히는 인도 증시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차갑게 식었다. 금융 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9월 1일까지 설정액 10억원 이상 국내 상장한 인도 관련 펀드 38개에서 약 2614억원이
2025.09.12. -
내수 살리는 K관광…외국인 소비 ‘사상 최대’
올해 2분기 외국인이 국내에서 사용한 카드 금액이 5조원을 넘어섰다. 통계 작성 후 사상 최대 사용 실적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비거주자의 카드 국내 사용 금액은 37억9000만달러(약 5조2600억원
2025.09.04. -
“스트레스 풀려요”…게임보다 운동이 취미라는 2030
2030세대가 취미 활동으로 게임보다 운동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공간 대여 플랫폼 스페이스클라우드가 회원 1303명을 대상으로 취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복수응답이 허용된 가운데, 응답자 4
2025.09.04. -
빚 많아 집 넘깁니다…강제경매 역대 최다
빚을 갚지 못해 강제로 부동산을 뺏겨 법원 경매로 넘어간 건수가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경매 시장서 강제경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40%에 육박했다. 부동산 업계서는 ‘서민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는 우
2025.08.28. -
국민 4명 중 3명 “노란봉투법 시행하면 노사 갈등 심화”
국민 4명 중 3명은 이른바 ‘노란봉투법’으로 불리는 노동조합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노사 갈등이 더 심화될 것으로 내다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민과 기업들의 소통 플랫폼’을 통해 국민 12
2025.08.28. -
먹거리 물가 치솟자 ‘식품사’ 때리는 정치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7월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5% 상승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보다 높은 수치로 지난해 7월(3.6%) 이후 1년
2025.08.20. -
최악의 오피스 빌런 조사해보니…월급 루팡보다 ‘이 유형’
갑질에 막말을 일삼는 상사가 최악의 오피스 빌런 유형으로 꼽혔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6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전체 응답자 중 30.5%가 ‘갑질·막말형’을 선택했다. 부적절한 언행이나
202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