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관광객 무비자 시대를 맞아
두 달 전 법무부는 지난달 29일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내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한다고 보도자료를 냈다. 이후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건에도 불구하고 중국 단체 관광객에게 대
2025.10.15. -
정치가 가로막는 성평등
몇 해 전 부산에서 있었던 일이다. 한 여성 시의원이 당선 이후 면담을 청한 한 기업체의 사장으로부터 이런 말을 들었다고 한다. “(남자 시의원이라면) 보통은 룸살롱에서 뵙자고 하면 되는데 여성분은 어디서 뵙자고 해
2025.10.13. -
청년 담론에 가려진 중장년의 비애
한국 사회에서 저항(86세대)과 자유(X세대)의 상징이었던 청년이 사회적 약자로 인식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후반부터다. 당시의 청년 문제는 구조적인 측면이 강했다. ‘치솟는 등록금에 시급 3000~4000원짜리
2025.10.01. -
재심, 법정 밖에서 시작되는 정의
1964년, 18세의 한 여성이 자신을 성폭행하려는 남성의 혀를 깨물어 절단했다는 이유로 기소되어 유죄를 선고받았다. 법원은 “과잉방어”라며 정당방위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녀는 범죄자로 낙인찍힌 채 평생을 살아야 했
2025.09.29. -
부산 청년, 집 대신 디지털자산
한국 사회에서 집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니라 자산 증식의 사다리였다. 그러나 그 사다리는 부산 청년들에게 닿을 수 없는 높이에 놓여 있다. 서울 아파트가 부의 상징으로 자리 잡는 동안, 부산 청년들은 다른 선택지를
2025.09.24. -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가는 것들
무덥고 긴 여름이었다. 이제 겨우 선풍기를 끄고 잠들 수 있게 되었다. 기후변화를 온전히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문득 과거의 기후 변화가 궁금해졌다. 과거에는 심각한 기후변화가 없었는데, 이 시대에 와서 비로소
2025.09.22.
-
그린에너지 인프라로 여는 친환경 스마트 해양 도시
부산항을 매일 오가는 수천 척의 선박과 항만을 가득 메운 컨테이너는 부산 경제의 활력 넘치는 심장이다. 그러나 이 심장이 내뿜는 연기는 여전히 석유와 중유에 의존하던 과거의 흔적을 담고 있다.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
2025.09.17. -
시베리아 작은 마을의 향토사박물관
지난달 하순 몽골과 동시베리아 바이칼 지방을 열흘간 여행하고 돌아왔다. 투르카 항에서 샤머니즘의 알혼섬까지 왕복 7시간을 멀미에 시달리며 바이칼 호수의 혼이라는 샤먼 바위와 13개의 세르게(성스러운 솟대)를 찾아간
2025.09.10. -
개와 늑대의 시간, 한국 외교의 성패
지난주 중국은 국제사회에 ‘대국굴기’를 과시하는 두 장면을 연출했다. 그 첫 번째가 9월 1일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였다. 2001년 출범한 이 협력체는 유라시아 최대 규모의 정치·경제·안보
2025.09.08. -
스테이블코인, 은행 시스템의 위기 아닌 기회
최근 금융·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는 단연 스테이블코인이다. 디지털 자산 시장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기존 금융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결제·정산 수단으로의 가능성 때문이다. 그러나 일각에서
2025.09.03. -
바다에서 바다로
지난주 부산 관광 미래 네트워크 회원들과 함께 팬스타 크루즈 미라클을 타고 2박 3일 일정으로 오사카 박람회장을 다녀왔다. 하루 동안만 엑스포장을 둘러보는 일정이 과연 의미 있을까 잠시 고민했지만, 2030 부산세계
2025.08.27. -
너무 늦은 정의는 없다
최근 OTT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나는 생존자다〉는 형제복지원과 JMS(기독교복음선교회) 사건, 지존파, 삼풍 백화점 참사 등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다뤄 화제를 모았다. 인권유린, 성폭력, 고문과 살
2025.08.25. -
연공서열 개혁 없이 '공대 한국' 만들 수 없다
2000년대에도 의대·치대·한의대 등 이른바 ‘메디컬 학과’의 인기는 대단했지만 요즘 같은 정도는 아니었다. 입시 학원에서 배포하는 정시 배치표(자연계) 최상위권에는 서울 소재 명문대학 의대와 더불어 서울대 이공계
2025.08.18. -
팔만대장경과 금속활자
우리가 자랑스러워하는 문화유산 중에 금속활자 인쇄술이 있다. 그런데 중국이나 다른 나라가 아닌 고려에서 먼저 금속활자를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그 주된 이유는 대장경 조판에서 찾을 수 있다. 고려는 거란의 침입에 직
2025.08.13. -
디지털자산시장 불장에 대비하는 자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퇴직연금 ‘401K’의 암호화폐 투자 제한 규정을 해제하자, 비트코인은 11만 7000달러 선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 갱신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친화적 경
2025.08.11. -
"검찰 폐지"라는 구호에 가려진 빈틈
얼마 전 ‘검찰청’을 폐지하고 ‘공수청’을 신설한다는 뉴스 특보를 보고 두 눈을 의심했다. 헌법상 명시된 검찰 조직과 검사의 법적 권한인데, 설마 그렇게까지 하겠나 했더니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지난 8월 5
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