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 두개골·얼굴, 다른 유인원보다 훨씬 빠르게 진화"
英 연구팀 "큰 뇌와 납작한 얼굴의 진화적 이점이 영향 미쳤을 가능성" 인간은 다른 유인원들(apes)보다 놀라울 만큼 빠른 속도로 큰 뇌와 납작한 얼굴을 진화시켰으며, 이는 큰 뇌와 납작한 얼굴이 가지는 진화적 이
2025.10.22. -
"신체활동 늘수록 칼로리 소비도 증가…열량 상쇄·보상 없어"
美 연구팀 "운동할 때도 기본 생리기능은 동일…에너지 소비량 누적 증가" 운동 등 신체활동을 많이 할수록 하루 총에너지 소비량은 누적해 증가하지만, 그로 인해 신체가 다른 기능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보상하지는 않는
2025.10.21. -
"제 몸에 곰팡이 키워 알 보호하는 곤충…새로운 공생관계 발견"
日 연구팀 "악취노린재 뒷다리 기관은 청각기관 아닌 공생 곰팡이 재배 기관" 오랫동안 청각기관으로 여겨져 온 악취노린재(stinkbug) 뒷다리의 특이 구조가 알을 보호하는 데 사용할 곰팡이를 재배하는 공생기관으로
2025.10.17. -
"150만년 전 파란트로푸스의 손뼈에 인류·고릴라 특징 공존"
美 연구팀 "손뼈 화석 첫 발견…초기 인류의 손 진화과정 중요 단서 제공" 200만~100만년 전 동아프리카에 살던 호미닌(사람족)인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가 현대 인류의 특징과
2025.10.16. -
새를 겁쟁이로 만드는 요인은?…"먹이 습성과 이동 행동"
국제 연구팀 "먹이 단순한 새·철새,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 많아" 새들은 종에 따라 새로운 것을 접하면 두려워 다가가지 못하는 '신공포'(neophobia) 행동을 보이기도 하고 바로 접근해 탐색하기도 한다. 이
2025.10.15. -
"인간 줄기세포로 배양한 배아 유사체로 혈액세포 만들었다"
英 연구팀 "환자 자기 세포로 손상 조직 복원하는 재생의학 향한 중요 진전" 영국 연구진이 인간 배아줄기세포(hESC)와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hiPSC)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3차원 배아 유사체(three-
2025.10.14.
많이 본 연재
연재 내 기사의 조회수 순입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입니다.
-
1
"신체활동 늘수록 칼로리 소비도 증가…열량 상쇄·보상 없어"
美 연구팀 "운동할 때도 기본 생리기능은 동일…에너지 소비량 누적 증가" 운동 등 신체활동을 많이 할수록 하루 총에너지 소비량은 누적해 증가하지만, 그로 인해 신체가 다른 기능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보상하지는 않는
-
2
"제 몸에 곰팡이 키워 알 보호하는 곤충…새로운 공생관계 발견"
日 연구팀 "악취노린재 뒷다리 기관은 청각기관 아닌 공생 곰팡이 재배 기관" 오랫동안 청각기관으로 여겨져 온 악취노린재(stinkbug) 뒷다리의 특이 구조가 알을 보호하는 데 사용할 곰팡이를 재배하는 공생기관으로
-
3
"150만년 전 파란트로푸스의 손뼈에 인류·고릴라 특징 공존"
美 연구팀 "손뼈 화석 첫 발견…초기 인류의 손 진화과정 중요 단서 제공" 200만~100만년 전 동아프리카에 살던 호미닌(사람족)인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가 현대 인류의 특징과
-
4
"인간 두개골·얼굴, 다른 유인원보다 훨씬 빠르게 진화"
英 연구팀 "큰 뇌와 납작한 얼굴의 진화적 이점이 영향 미쳤을 가능성" 인간은 다른 유인원들(apes)보다 놀라울 만큼 빠른 속도로 큰 뇌와 납작한 얼굴을 진화시켰으며, 이는 큰 뇌와 납작한 얼굴이 가지는 진화적 이
-
5
ADHD-창의성은 쌍둥이?…"ADHD 있을 경우 더 창의적일 수있어"
네덜란드 연구팀 "자유로운 사고방식 '의도적 마음 방황'이 핵심 연결 고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창의성은 서로 연관돼 있으며, 둘은 의식적으로 생각을 다른 데로 돌리는 '의도적 마음 방황'(Delibe
-
ADHD-창의성은 쌍둥이?…"ADHD 있을 경우 더 창의적일 수있어"
네덜란드 연구팀 "자유로운 사고방식 '의도적 마음 방황'이 핵심 연결 고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창의성은 서로 연관돼 있으며, 둘은 의식적으로 생각을 다른 데로 돌리는 '의도적 마음 방황'(Delibe
2025.10.11. -
"유전자 편집 돼지 간, 말기암 환자에 이식…171일 생존"
中 연구팀 "인간 간 이식 전 '연결단계'로 보조 간 이종이식 가능성 입증" 사람에게 이식된 후 초급성거부반응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유전자가 편집된 돼지의 간이 최초로 말기 간암 환자에게 이식돼 환자가 171일 동안
2025.10.09. -
"1시간 만에 아밀로이드β 60% 제거…생쥐 알츠하이머 치료"
국제연구팀 "나노약물로 뇌혈관장벽 기능 회복…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치매 증상을 되돌리는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나노약물을 이용해 알츠하이머병 생쥐의 뇌에서 1시간 만에 치매 병리 물질 아밀로이드 베
2025.10.08. -
"방치 등 경험한 강아지, 성장 후 겁 많고 공격성 커진다"
美 연구팀 "반려견의 사회정서적 행동,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으로 형성" 강아지 시절에 트라우마 등 방치 경험이 있는 반려견들은 성장한 후 두려움이 많고 공격적인 성향을 가질 가능성이 크며, 일부 품종에서는 이런 경향
2025.10.03. -
껌으로 독감 진단?…"바이러스 만나면 특정 맛 내는 센서 개발"
獨 연구팀 "타액 시험서 30분 내 바이러스 검출…2년 내 임상시험 계획"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를 만나면 분해돼 특별한 맛을 내는 분자 센서가 개발됐다. 연구진은 이 분자 센서를 껌 등에 넣으면 증상이 나타나기
2025.10.02. -
"피부세포로 수정 가능 난자 만들었다…일부 배반포까지 발달"
韓美 연구팀 "불임 치료 적용 기대…임상 적용하려면 추가 연구 필요" 환자의 체세포(피부세포) 핵을 핵이 제거된 기증 난자에 이식(체세포 핵이식. SCNT)해 정상적으로 수정 가능한 난자를 만들고, 이를 정자와 수정
2025.10.01. -
"항생제가 박테리아 방어막 뚫고 침투하는 장면 첫 포착"
英 연구팀 "항생제 내성 그람음성균 새 치료법 개발 기여 기대" 영국 연구진이 세균이 항생제 침투를 막기 위해 생성하는 방어막(갑옷)을 뚫고 들어가 세균을 죽이는 과정을 처음으로 영상으로 포착했다. 영국 유니버시티
2025.09.30. -
인류는 언제 포식자 됐나…"호모 하빌리스, 맹수에 잡아먹혀"
美 연구팀 "호모 하빌리스 유골 화석 AI로 분석…표범 이빨 자국 등 확인" 인류가 두뇌가 커지면서 석기 제작 기술 등을 익혀 맹수까지 사냥하는 포식자가 된 것은 언제일까? 조상 인류 중 첫 포식자로 추정돼온 호모
2025.09.26. -
"다친 개미 냄새로 꽃가루받이 곤충 유인하는 식물 발견"
日 연구팀 "개미 냄새 흉내 확인된 첫 식물…꽃의 모방 다양성 사례 " 개미가 천적 공격을 받아 상처를 입었을 때 방출하는 휘발성 물질과 비슷한 냄새를 꽃에서 풍겨 꽃가루받이 곤충을 유인하는 식물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2025.09.25. -
"온난화로 인한 폭염, 대기보다 하천서 더 빠르게 증가"
美 연구팀 "하천 폭염 빈도·지속기간·강도 증가 속도, 대기의 2~4배"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의 강도와 빈도가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하천 수온이 높아지는 하천 폭염 발생이 대기 폭염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