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 생체시료, 칼 없이도 층층이 3차원 정밀 촬영
이번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쥐에서 냄새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계 구조체인 후각구의 축삭과 수초를 렌더링한 정교한 3차원(3D) 영상이 실렸다. 축삭과 수초는 신경세포(뉴런) 돌기를 이루는 요소다. 미세한
2025.10.19. -
식이 제한, 소아암 치료 효과 높인다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암이 굶주리도록 만들라는 문구가 실렸다. 식이 제한을 통해 암 치료제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조슈아 라비노비츠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식
2025.10.18. -
개기일식에 햇빛 사라지자 숨죽인 새들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개기일식 진행 중 날아가는 새의 모습이 담겼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면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이다. 지난해 4월 북미대륙에서 7년 만에 개기일식이
2025.10.12. -
세포 내 지질 운반 과정, 실시간으로 담았다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포유류 세포에서 우리 몸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인 지질(lipids) 분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담겼다. 사진에서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은 주황색, 세포 내 에너지 생산
2025.10.11. -
박테리아 유인하는 식물 분비액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현미경인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박테리아 이미지가 실렸다. 이 박테리아들은 식물의 새로 자란 곁뿌리 주변으로 몰려 서식하고 생장한다. 니코
2025.10.05. -
AI에게 맡긴 일, 정직성은 약해진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문장으로 가득하다. “수익을 최대화해줘” “세금은 적게 보고해줘” 같은 말이 반복된다. 정중앙에는 CHEAT CODE라는 굵은 글자가 보인다. 사람이 인공지능에게 일을 맡길 때 편리함 뒤에
2025.10.04.
많이 본 연재
연재 내 기사의 조회수 순입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입니다.
-
1
대형 생체시료, 칼 없이도 층층이 3차원 정밀 촬영
이번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쥐에서 냄새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계 구조체인 후각구의 축삭과 수초를 렌더링한 정교한 3차원(3D) 영상이 실렸다. 축삭과 수초는 신경세포(뉴런) 돌기를 이루는 요소다. 미세한
-
2
식이 제한, 소아암 치료 효과 높인다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암이 굶주리도록 만들라는 문구가 실렸다. 식이 제한을 통해 암 치료제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조슈아 라비노비츠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식
-
3
개기일식에 햇빛 사라지자 숨죽인 새들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개기일식 진행 중 날아가는 새의 모습이 담겼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면서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이다. 지난해 4월 북미대륙에서 7년 만에 개기일식이
-
4
세포 내 지질 운반 과정, 실시간으로 담았다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포유류 세포에서 우리 몸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인 지질(lipids) 분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담겼다. 사진에서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은 주황색, 세포 내 에너지 생산
-
5
박테리아 유인하는 식물 분비액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현미경인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박테리아 이미지가 실렸다. 이 박테리아들은 식물의 새로 자란 곁뿌리 주변으로 몰려 서식하고 생장한다. 니코
-
화려한 경고색과 위장색 뒤에 펼쳐진 생존 전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흰이마벌매가 흰줄점박이 아크레아 나비를 부리에 문 순간을 포착한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다. 선명한 초록 등깃과 붉은 목깃이 번쩍이는 새와 주황·검정의 대비가 강한 나비가 맞붙는
2025.09.28. -
자금 압박, AI 등장 등으로 위기에 처한 대학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위기에 처한 대학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실렸다. 대학은 지난 수세기 동안 고등교육의 초석을 이뤄왔다.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운영돼온 고등교육기관인 모로코의 알카리위인대는
2025.09.27. -
극한의 땅, 투르카나 목동의 생존 비결
케냐의 건조한 사막 속 투르카나 호수 근처에서 젊은 투르카나 목동들이 낙타를 몰고 간다. 이 지역에서 목축은 여전히 생존의 핵심이다. 주민들은 뜨거운 기후와 물 부족이라는 끊임없는 도전에 맞서고 있다. 목축 공동체가
2025.09.21. -
中 생성AI 딥시크 R1 학습 비밀 첫 공개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자기계발(SELF-HELP)'이라는 단어와 함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듯한 그림이 실렸다. 표지 그림은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고사양'으로 주목받은
2025.09.20. -
해양 조류에서 역대 최대 '광합성 분자기계' 발견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해양 플랑크톤인 인편모조류(coccolithophore)의 엽록소가 빛에너지를 흡수해 화학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이 그려졌다. 인편모조류는 석회질 비늘로 덮인 단세포 식물성 플
2025.09.14. -
폭염 유발한 기업의 과학적 연결고리 규명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는 한가운데 정장 차림의 인물이 불타는 서류가방을 들고 서 있는 이미지를 실었다. 서류가방은 전통적으로 비즈니스와 의사결정권을 상징한다. 표지에서는 불길에 휩싸여 재난을 촉발하는 도구
2025.09.13. -
다람쥐 엄지손톱에서 찾은 설치류 진화의 비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나무를 타는 붉은다람쥐가 두 팔을 쭉 뻗은 채 도약하는 순간을 담았다. 다람쥐의 손을 자세히 보면 작은 손톱이 달린 엄지와 커다란 발톱이 달린 네 손가락이 함께 존재한다. 과
2025.09.07. -
위성 이미지로 전세계 '식물계절' 지도화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조슈아트리 국립공원에서 꽃피운 새장금잔화(학명 Oenothera deltoides)가 실렸다. 개화나 낙엽 등 지역마다 차이가 큰 계절별 식물 생장 패턴인 '식
2025.09.06. -
들소 이동, 식물 영양분 증가시킨다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들소들이 이른 아침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라마 계곡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이 실렸다. 연구자들은 들소의 움직임과 이동이 식물의 영양분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확인했다. 윌리엄
2025.08.31. -
나무는 혼자가 아니다…'1조 미생물과 함께 사는 생태계'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울창한 숲속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나무 뿌리의 모습을 실었다. 뱀처럼 구불구불 뻗어나간 뿌리는 숲바닥의 고사리와 작은 식물들을 헤치며 뻗어 있다. 표지 한 켠에는 '나무 속 미생
2025.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