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습니다, 다만(Yes, But)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직장생활에서 상사에게 ‘노(No)’라고 말하기란 쉽지 않다. 한두 번이면 모를까
2025.10.21. -
'낭만 철도'와 북한 희토류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일제 강점기이던 1930년대 부산역이나 서울역에서 기차를 타고 유럽에 갈 수 있
2025.10.20. -
전문가들의 죽음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러시아, 중국, 북한의 정상들은 악인이다. 비밀경찰과 수용소가 만연한 잔혹한
2025.10.19. -
꼬리 잡힌 ‘지하경제의 달러’ 비트코인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한국 청년을 납치 고문해 죽음으로 내몬 캄보디아 국제 사기 범죄조직 중 하나인
2025.10.17. -
18홀 협상 테이블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그는 돈보다 골프를 사랑한다." 메이저 대회를 16차례나 석권한 골프계 전설
2025.10.16. -
미국이 만든 무기로 반격 나선 중국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중국이 14일 한국 한화오션의 미국 계열사를 제재 명단에 올렸다. 중국 언론은
2025.10.15.
많이 본 연재
연재 내 기사의 조회수 순입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입니다.
-
1
꼬리 잡힌 ‘지하경제의 달러’ 비트코인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한국 청년을 납치 고문해 죽음으로 내몬 캄보디아 국제 사기 범죄조직 중 하나인
-
2
'낭만 철도'와 북한 희토류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일제 강점기이던 1930년대 부산역이나 서울역에서 기차를 타고 유럽에 갈 수 있
-
3
전문가들의 죽음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러시아, 중국, 북한의 정상들은 악인이다. 비밀경찰과 수용소가 만연한 잔혹한
-
4
18홀 협상 테이블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그는 돈보다 골프를 사랑한다." 메이저 대회를 16차례나 석권한 골프계 전설
-
5
맞습니다, 다만(Yes, But)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직장생활에서 상사에게 ‘노(No)’라고 말하기란 쉽지 않다. 한두 번이면 모를까
-
최고 권력자의 허영심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독재자도 훌륭한 통치자란 칭찬을 듣고 싶어 하고, 바람을 피우는 사람도 지조
2025.10.14. -
캄보디아, 한국인 킬링필드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캄보디아는 한때 인도차이나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크메르 제국(Khmer Emp
2025.10.13. -
추석이 '되시는' 사람들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커서 뭐가 될 거니?” 세상이 변하자 답도 바뀌었다. 과학자, 대통령, 선생님
2025.10.12. -
김정은의 화성 집착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화성은 밤하늘에 붉게 보인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피와 불, 전쟁을 떠올렸다. 영
2025.10.10. -
가난한 사람 손 들어 봐!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추석 연휴에 찾아본 한 드라마. 1990년대 초반 부촌과 빈촌 아이들이 섞여 다
2025.10.09. -
유튜브 속 말벌의 호소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1970~80년대 언론계에서 특종 기자로 명성을 떨친 한국일보 원로를 며칠 전
2025.10.03. -
전시작전통제권 ‘회복’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국군의날 연설에서 “전시작전통제권 회복”을 선언했다. 이
2025.10.02. -
전유성만큼 한다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컴퓨터, 일주일만 하면 전유성만큼 한다’는 지난 25일 향년 76세로 세상을
2025.09.30. -
38억짜리 가위바위보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가위바위보는 언어·인종·종교와 상관없이 전 세계를 관통하는 문화이자 놀이다. 일
2025.09.29. -
‘얻다 대고’ 정치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세상엔 유니콘 같은 문장들이 존재한다. 사전이나 문헌에선 보이지만, 실제 쓰는
2025.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