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AI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 공개… 구글 ‘크롬’에 도전장

이경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픈AI가 공개한 웹브라우저 검색창./오픈AI 제공

오픈AI가 자사의 첫 인공지능(AI) 기반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ChatGPT Atlas)’를 출시하며 구글 크롬이 장악해온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이번 출시는 맥OS에서 시작해 윈도우, iOS, 안드로이드까지 확대될 예정이며, AI 기능을 전면에 내세운 차세대 브라우저의 등장에 따라 구글 알파벳 주가도 일시적으로 하락했다.

오픈AI는 21일 자사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채널 등을 통해 챗GPT 아틀라스를 공개했다. 브라우저가 이용자의 작업과 도구, 맥락이 통합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챗GPT를 기반으로 한 ‘슈퍼 어시스턴트’ 역할에 한 걸음 더 다가갔다고 설명했다.

챗GPT 아틀라스는 사용자가 웹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도움을 제공하며, 창을 벗어나지 않고도 복잡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복사-붙여넣기’ 없이도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바로 실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브라우저는 챗GPT의 메모리 기능을 탑재해 과거 대화 내용과 세부 정보를 기억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작업을 지원한다. 예컨대 “내가 면접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난주에 확인한 채용 공고를 모아 업계 트렌드를 요약해 달라”는 요청에 대해 아틀라스가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이 메모리 기능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에서 활성화하거나 기록을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현재 아틀라스는 맥OS에서 이용 가능하며, 조만간 윈도우, iOS, 안드로이드 버전도 출시될 예정이다.

오픈AI는 이번 브라우저 출시를 통해 구글, 퍼플렉시티 등과의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앞서 퍼플렉시티는 지난 7월 AI 브라우저 ‘코멧(Comet)’을 유료로 선보인 뒤 무료로 확대했고, 구글은 지난달 크롬에 자체 AI 모델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했다.

제미나이는 캘린더, 유튜브, 지도 등 구글 앱들과 연동돼 웹페이지를 이동하지 않고도 해당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오픈AI가 직접 브라우저 시장에 진입하면서,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브라우저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오픈AI의 발표 직후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주가가 장중 4% 넘게 하락했다가 오후 들어 낙폭을 일부 줄이며 1%대 하락세로 마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