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원내부대표가 “대법원 국정감사 현장에서 쇼츠를 찍어 올린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쇼츠는 자극적 내용의 동영상 화면만 간추려 몇십 초 분량으로 만든 짧은 동영상이다. 지난 15일 국회 법사위 민주당 의원들은 대법원 현장 국감이라면서 대법정과 대법관 집무실 등을 돌아다녔고, 일부 의원은 이를 쇼츠로 만들어 유튜브에 올렸다. 쇼츠에 자기 후원 계좌를 올린 의원도 있었다. 국정감사 현장이 정치인의 홍보용 유튜브 촬영장이냐는 비판이 제기됐고, 민주당 지도부조차 부적절성을 지적한 것이다.
이번 국회에선 강성 지지층의 관심을 얻기 위해 일부러 과격한 언행을 하고 이를 자극적 화면과 문구로 편집해 쇼츠로 올리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 법사위와 과방위, 국방위처럼 여야 정쟁이 잦은 상임위는 저질 정치 예능 프로그램 촬영장을 방불케 할 정도다. 더 자극적인 영상을 만들기 위해 정치인들 목소리는 계속 커지고 동영상 문구 역시 ‘사자후’ ‘극대노’ ‘폭발’ ‘드디어 참교육’처럼 저급한 시선 끌기뿐이다.
과거에는 몸싸움이나 욕설 같은 행위를 하면 비난을 받았지만, 지금은 쇼츠를 통해 강성 지지층에 소문이 나면서 오히려 인기를 끌고 있다. 더 자극적인 언행을 해야 정치인으로서 인지도가 상승하고 후원금도 많이 들어온다는 것이다. 최근 대법원장을 면전에서 조롱하는 등 몰상식한 언행을 한 초선 의원도 후원금 한도인 1억5000만원을 거의 채웠다고 한다. 국회의원이 행정부 견제라는 원래 역할보다는 의원 권한을 개인 홍보나 돈벌이 수단으로 사유화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인들이 의정 활동은 뒷전이고 강성 지지층을 겨냥한 쇼츠 제작에 몰두하는 것은 쇼츠의 파급력 때문일 것이다. 한국의 유튜브 하루 평균 이용자 수는 3000만명이고,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은 140분 수준이다. 국민 2명 중 1명이 2시간 넘게 유튜브를 보고 있다.
정치인들의 비속어와 물리적 폭력이 담긴 쇼츠의 유해성은 폭력물이나 음란물과 다르지 않다. 국회가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자정에 나서지 않는다면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이 저질 정치 쇼츠를 추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