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직원이 의원실 연락 받아"
최민희 "방미통위, 요청한바 없다고 확인"
박정훈 "회의 진행 자격 없어···사퇴해야"
[서울경제]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국정감사 기간 딸 결혼식을 하면서 피감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현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에 화환을 요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딸 결혼식에 관여하지 않았고 피감기관에 연락하지 않았다”는 최 위원장의 기존 해명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최 위원장은 “방미통위에 확인했는데 과방위원장실에서 화환을 요청한 바 없다고 답이 왔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최 위원장의 행위가 부적절했다며 사퇴를 요구했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KBS 등에 대한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며 이 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 전 위원장은 분명히 최민희 의원실에서 연락이 왔다고 한다”며 이 전 위원장과 방통위 직원과의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방통위 직원은 “최 위원장 딸의 혼사가 있다는데 화한을 보내시죠. 의례적인 겁니다”라고 했고 이 위원장은 “나하고 최민희와 관계가 그런데(좋지 않은데) 굳이 보내야 하나?”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 직원은 “사실은 최민희 의원실에서 보내달라고 연락이 왔다”고 했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이후 방미통위 설치 법안이 통과되면서 이 전 위원장은 위원장직에서 면직됐고, 이 전 위원장은 “내 이름으로 된 화한은 취소하고 보내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김 의원은 “국감 기간에 (딸 결혼식을) 국회에서 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지난 과방위 회의때 (최 위원장의) 해명과 100% 다르다. (피감기관에) 연락을 했는지, 안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과방위 피감기관 및 유관기관에 최 위원장 딸 결혼식에 화한 및 축의금을 전달했는지 등 자료 일체를 요구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최 위원장은 “오늘 국감은 KBC, EBS 등에 대한 국감이기 때문에 별 의미가 없다”며 “(자료제출 요구를) 의결하지 않겠다”고 일축했다. 과방위 여당 간사인 김현 민주당 의원은 “최 위원장에 대한 청문회도 아니고 최 위원장에 대한 국감도 아니다”라며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해 최 위원장이 소명을 안하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자료제출 요구를 받아주지 않는 게 부당하다며 고성과 함께 항의했다.
최 위원장은 김 의원의 의혹 제기와 관련해 오전 회의 말미에 방미통위의 회신과 함께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최 위원장은 “방미통위에 확인을 했고 ‘위원장실에서 방미통위에 화환을 요청한 바 없다’고 답이 왔다”며 “이진숙씨가 얘기했다는 의원실 직원이 누군지 말해주면 확인하겠다. 이제 저희가 답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국민의힘 의원들은 최 위원장의 일련의 언행이 부적절했다며 사퇴를 요구하며 공세에 나섰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최 위원장이) 회의 진행할 자격이 있냐”며 “그만두세요. 사퇴해야 한다”고 위원장직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박 의원은 “최 위원장이 보인 일련의 행동들은 독재자의 모습”이라며 “국회에서 국감 기간에 자녀 결혼식을 한 문제, MBC (국정감사에) 가서 보도본부장을 나가라고 한 문제, 그 과정이 ‘내가 원하는대로 보도 안했다’는 취지라는 문제, 상임위를 취재하는 기자에게 ‘선택적으로 취재하니 나가라’고 한 문제 모두 독재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최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 자신이 문제 제기했던 MBC 뉴스데스크의 기사를 언급하면서 “보도내용은 납득하기 힘들었다. 과방위원들의 자극적인 발언을 그대로 들려줄 뿐 사실이 뭔지는 전혀 다루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국감장에서 기자들을 퇴장시킨 데 대해서는 “국정감사는 원칙적으로 공개되지만 위원들 간 합의가 있을 경우 언제든지 비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며 “취재가 과열되는 상황에서 언론보도로 인한 또 다른 갈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회의장 질서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자들을 퇴장시켰을 뿐”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