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상생주차장 조성사업 두고 대전시-중구 '공방'

정민지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전 원도심 소상공인 상생주차장 조성사업 위치도. 대전시 제공


대전시와 중구가 '원도심 소상공인 상생주차장 조성사업'을 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김제선 중구청장이 최근 사업 착공 시점을 두고 "이장우 대전시장이 연내 가능하다던 약속은 불투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한 데 대해, 시측이 "연내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겠다는 표현이었으며, 사업 시행은 중구"라고 반박하면서다.

박두용 시 정무수석보좌관은 22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사업은 민선 7기 허태정 시장 때인 2019년 시작했다"며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허 시장과 박용갑 중구청장, 대전도시공사 사장이 '사업 시행은 중구', '시는 관리', '도시공사는 위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협약을 맺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 대종로 구간의 경우 주차면수 부족과 사업비 증가 등 이유로 규모가 줄어들면서 사업은 진척되지 않았다"며 "이장우 시장이 당선된 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신속히 추진하고자 지난해 말 사업 부지는 대흥어린이공원으로 변경됐다. 이 과정은 시 독단 결정이 아닌, 중구와 도시공사와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결정됐다"고 강조했다.

이는 김 청장이 전날 SNS를 통해 이 시장을 겨냥, "2019년 당시 400면의 주차장을 조성하려던 계획은 2021년 294면, 2023년 119면으로 지속적으로 축소됐다. 지역 상인·주민들은 잦은 사업계획 변경과 불투명한 추진 상황에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고 비판한 데 반박한 것이다.

사업의 착공 시점과 국비 반납 여부 등을 두고도 신경전은 이어졌다.

김 청장은 "이 시장은 지난 1일 중구를 찾아 '연내 착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으며, 시 담당 국장 또한 '연내 착공이 가능하다'고 답변했지만 여러 행정적 절차로 실질적인 연내 착공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행정절차 미비로 사업 추진은 불투명해져 자칫 확보된 국비마저 반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박 정무수석은 "사업 시행은 중구지만, 관리하는 시 또한 관심을 갖고 빨리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차원이었다"며 "시장께선 중구 방문 행사에서 '연내 착공한다'는 말을 하지 않았고, 담당 국장이 연내 착공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해명했다.

또 국비 반납 가능성에 대해선 "전체 사업비 290억 원 중 국비 60억 원을 교부받아 현재 도시공사에 지원돼 있으며, 시비 17억 원 또한 중구에 넘겨준 상황"이라며 "77억 원의 비용이 확보돼 있으며 일부 교부된 금액은 반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박 정무수석은 "행정은 행정으로 풀어야 하는데, 행정을 정치로 하면 중간에서 시민과 중구민들이 피해를 본다"며 "이 사업은 시민들을 위해 빨리 추진하고 완공하는 게 목표다. 중구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같이 협조해 달라"고 했다.

사업을 사이에 둔 시와 중구 간 설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중구는 23일 구청에서 '시 언론 간담회' 관련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한편 원도심 소상공인 상생주차장 조성 사업은 중구 은행동 일원에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8625㎡ 규모로 주차면 237면의 주차 전용 건물을 신축하는 게 골자다. 총사업비는 290억 원(국비 60억, 시비 230억)이다. 현재 도시공사에서 건축 설계와 각종 기술심의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 현장르포' 뉴스人
  • 줌인(Zoom in)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