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중구가 '원도심 소상공인 상생주차장 조성사업'을 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김제선 중구청장이 최근 사업 착공 시점을 두고 "이장우 대전시장이 연내 가능하다던 약속은 불투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한 데 대해, 시측이 "연내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겠다는 표현이었으며, 사업 시행은 중구"라고 반박하면서다.
박두용 시 정무수석보좌관은 22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사업은 민선 7기 허태정 시장 때인 2019년 시작했다"며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허 시장과 박용갑 중구청장, 대전도시공사 사장이 '사업 시행은 중구', '시는 관리', '도시공사는 위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협약을 맺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 대종로 구간의 경우 주차면수 부족과 사업비 증가 등 이유로 규모가 줄어들면서 사업은 진척되지 않았다"며 "이장우 시장이 당선된 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신속히 추진하고자 지난해 말 사업 부지는 대흥어린이공원으로 변경됐다. 이 과정은 시 독단 결정이 아닌, 중구와 도시공사와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결정됐다"고 강조했다.
이는 김 청장이 전날 SNS를 통해 이 시장을 겨냥, "2019년 당시 400면의 주차장을 조성하려던 계획은 2021년 294면, 2023년 119면으로 지속적으로 축소됐다. 지역 상인·주민들은 잦은 사업계획 변경과 불투명한 추진 상황에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고 비판한 데 반박한 것이다.
사업의 착공 시점과 국비 반납 여부 등을 두고도 신경전은 이어졌다.
김 청장은 "이 시장은 지난 1일 중구를 찾아 '연내 착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으며, 시 담당 국장 또한 '연내 착공이 가능하다'고 답변했지만 여러 행정적 절차로 실질적인 연내 착공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행정절차 미비로 사업 추진은 불투명해져 자칫 확보된 국비마저 반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박 정무수석은 "사업 시행은 중구지만, 관리하는 시 또한 관심을 갖고 빨리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차원이었다"며 "시장께선 중구 방문 행사에서 '연내 착공한다'는 말을 하지 않았고, 담당 국장이 연내 착공을 목표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해명했다.
또 국비 반납 가능성에 대해선 "전체 사업비 290억 원 중 국비 60억 원을 교부받아 현재 도시공사에 지원돼 있으며, 시비 17억 원 또한 중구에 넘겨준 상황"이라며 "77억 원의 비용이 확보돼 있으며 일부 교부된 금액은 반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박 정무수석은 "행정은 행정으로 풀어야 하는데, 행정을 정치로 하면 중간에서 시민과 중구민들이 피해를 본다"며 "이 사업은 시민들을 위해 빨리 추진하고 완공하는 게 목표다. 중구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같이 협조해 달라"고 했다.
사업을 사이에 둔 시와 중구 간 설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중구는 23일 구청에서 '시 언론 간담회' 관련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한편 원도심 소상공인 상생주차장 조성 사업은 중구 은행동 일원에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8625㎡ 규모로 주차면 237면의 주차 전용 건물을 신축하는 게 골자다. 총사업비는 290억 원(국비 60억, 시비 230억)이다. 현재 도시공사에서 건축 설계와 각종 기술심의 절차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