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을 계기로 산림당국이 4단계로 운영되던 산불 대응체계를 3단계로 축소하기로 했다. 신고 접수 이후 헬기를 투입해 물을 투하하기까지 걸리는 ‘골든타임’은 50분에서 30분으로 단축한다. 민가 방어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소방인력도 초기 산불 진화에 적극 투입된다.
산림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관계부처 합동 산불 종합대책을 내놨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영남지역에서 동시다발적인 대형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가 발생한 이후 산림청과 행정안전부, 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등이 참여해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것이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산불 초기 대응 역량 강화다. 산불 대응체계는 그동안 초기 대응 및 확산 대응 1~3단계 등 총 4단계로 운영돼 왔다. 이를 초기 대응 및 확산 대응 1~2단계로 바꿔 초기 진화자원 동원 범위를 넓혔다.
관할 지자체와 소방서, 국유림관리소 등에서 동원 가능한 지상자원의 50%까지만 투입했던 초기 대응 단계 대처방식도 100% 동원으로 확대한다. 헬기 등 공중 진화자원도 반경 50㎞ 안에서 즉시 투입하기로 했다.
산불 초기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진화자원도 확충한다. 내년부터는 군 헬기 41대가 언제든 산불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즉응전력으로 편성된다. 여기에 증원전력 102대를 더해 모두 143대의 군 헬기 동원이 가능해진다. 2027년부터는 담수용량이 크고 기상 악화 시에도 투입 가능한 군 고정익 항공기를 산불 진화용으로 시범 운영한다. 현재 60대인 산림청 헬기는 2035년까지 70대로 늘리고, 소형 헬기를 모두 중대형 헬기로 교체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대형산불 우려가 높은 봄철에는 신고 접수 이후 헬기가 출동해 물을 투하하기까지 걸리는 ‘골든타임’을 현재 50분 수준에서 30분까지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산불에 취약한 숲 구조의 대전환을 추진하는 동시에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강력한 초동진화에 중점을 둔 국가 총력 산불 대응체계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