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나락스, 해군과 함정 장비 운용 'AI 참모' 개발 시동

박종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버티컬 인공지능(AI) 기업 마키나락스가 해군 1함대사령부와 함정 장비 운용·관리를 지원하는 'AI 참모' 개발을 추진한다.

프로젝트는 장비 운용교범과 정비지침서 등 방대한 자료를 AI가 학습하고 하루 단위로 쌓이는 운용·정비 결과를 실시간 반영, 승조원이 손쉽게 장비를 운용·관리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방위사업청 '방산혁신기업 100' 선정기술 국방 통합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내년 10월까지 개발이 목표다. 해군 함정은 네트워크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이 제한된 환경으로 기존 클라우드 기반 AI시스템 적용에 한계가 있다.

마키나락스는 자체 AI 플랫폼 '런웨이'를 기반으로 경량 거대언어모델 운영기술(LLMOps) 환경을 구축하고 온보드 데이터 전처리 기술을 적용, 특수한 군사 환경 제약을 극복한다.

복잡한 운용교범과 정비지침서는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검색 증강 에이전트와 LLM 기반 응답 시스템으로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지원체계를 구현할 계획이다. Mk.45 5인치 함포 등 핵심 무장 체계 운용을 지원, 저숙련 인원도 무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네트워크와 자원이 제한된 실제 함정 환경에서 AI 운용 가능성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복잡한 운용교범과 정비지침서를 AI가 실시간 학습·제공, 현장 장비 운용·관리 능력을 향상하는 실질 사례를 만들어 AI 효용감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