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美 록히드마틴과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 파트너십 프레임워크

박한나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7:2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이 세계 최대 방산기업인 미국 록히드마틴과 손잡고 미국 육·해·공군 전력 강화를 위한 미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에 협력한다.

양사는 22일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과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인도-태평양 지역과 제3국 내 미군 전력자산의 정비지원과 적기전력화에 기여하기 위한 파트너십 프레임워크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군 작전수행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적기전력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양사 간 협력을 기반으로 록히드마틴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는 제3국으로 사업을 확장해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도 모색한다.

이번 협력은 최근 미국 국방부(전쟁부)가 발표한 지역 정비 지원 체계(RSF) 정책 기조에 따라 진행됐다. RSF는 미국이 직접 담당해온 해외 정비를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의 역량을 활용해 효율화하겠다는 정비 거점 구축 정책이다. 자산을 수리하기 위해 미국 본토까지 이송하는 데 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줄여 작전 준비 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려는 것이다.

대한항공은 미국 RSF 정책에 최적의 파트너로 꼽힌다.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군 장비를 가장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과 우수한 기술력, 풍부한 경험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지난 50여년간 군용 항공기 체계개발·양산·정비·성능개량을 수행해온 국내 최고 수준의 항공 방산 기업이다. F-15, F-16 등 전투기를 비롯해 다목적 헬리콥터 등 인도-태평양 전역 미군 항공기 3700여 대의 유지보수·수리·창정비, 성능개량(MROU) 사업을 모두 수행한 국내 유일의 업체이기도 하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미 군용기 정비 및 개조는 동맹국의 핵심 업체에만 수행되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며 "대한항공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미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사업을 수행하는 핵심 파트너사로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이번 협력을 토대로 록히드마틴 항공기를 운용하는 제3국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 간 협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도 적극 모색한다.대한항공은 F-16 수명연장 사업을 진행하며 록히드마틴의 지속적인 기술지원과 혁신을 뒷받침하고 있다. 2022년 초도기를 성공적으로 출고했으며, 기골 보강을 통해 추가 4000시간(약 20년)을 추가로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주일미군의 록히드마틴 회전익기 창정비 등 미 군용기 후속 군수지원을 위한 핵심 파트너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록히드마틴과의 협력은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동맹국에 대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난 50여년간 축적한 기술력과 인프라로 대한민국 방산 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했다.

박한나 기자 park27@dt.co.kr

조현철(왼쪽) 대한항공 군용기사업부 부서장과 스티브 시히 록히드마틴 운영·유지 사업개발 담당 부사장이 22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대한항공 제공.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