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에 왜 스튜디오가 있지?…기자단에 문 연 ‘오픈스튜디오’

황병서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6:5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책소통 강화·콘텐츠 제작 지원 취지
“검열 불가능한 구조…최대한 적극 지원”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대통령실이 출입기자단에 자체 방송시설을 개방한다. 정책 소통을 강화하고 언론의 콘텐츠 제작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이른바 ‘오픈 스튜디오’ 운영을 본격화한다.

용산 대통령실 내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디소브리핑’에 전은수(왼쪽) 부대변인과 김남국 디지털소통비서관이 ‘출연한 모습.(사진=유튜브 이재명 갈무리)
김남국 대통령실 디지털소통비서관은 22일 용산 대통령실 소통브리핑룸에서 열린 ‘대통령실 오픈스튜디오 활용계획 설명회’에서 “출입기자단이 직접 방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대통령실 라이브 스튜디오를 개방한다”며 “기자단 희망자에 한해 스튜디오 이용을 허용하고, 마이크·카메라·조명 등 기술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대통령실은 최근 자체 프로그램 ‘디소브리핑’을 시작했다”며 “정부 부처의 기존 정책방송은 조회 수나 홍보 효과가 낮은 편이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통령실이 국정 홍보 플랫폼 역할을 병행하는 모델을 구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튜디오를 우리가 일주일에 세 번만 활용해도 세 시간밖에 안 쓴다”며 “고가 장비가 있는 공간이 놀고 있는 셈이라 기자단과 함께 효율적으로 쓰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운영 방식은 기자단의 수요 조사와 사전 협의 절차를 거쳐 결정된다. 대통령실은 오는 30일까지 이용 수요를 접수한 뒤 편성 시간과 방송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다. 기자단이 기획한 프로그램의 송출은 각 언론사 채널을 통해 이뤄지며, 저작권 역시 제작자와 출연자에게 귀속된다.

일부 기자들이 ‘검열 우려’에 대해서 김 비서관은 선을 그었다. 그는 “헌법상 검열은 허용되지 않는다. 특히 라이브 방송은 실시간으로 진행돼 구조적으로 검열이 불가능하다”며 “프로그램 기획이나 편성은 기자단과 협의해 자율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스튜디오 이용 시 보안, 인력, 예산 문제로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필요 시 내부 관계자 출연 섭외 등도 돕겠다”고 덧붙였다.

김 비서관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철학은 ‘국민주권정부’이며, 그 핵심 가치가 투명성과 개방성”이라며 “오픈스튜디오는 이러한 철학을 소통 공간으로 구현하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용산 대통령실의 청와대 이전 이후에도 스튜디오 운영이 중단되지 않도록 별도 이전 계획을 마련 중이다. 김 비서관은 “두 달 전부터 대비하고 있다”며 “이전 후에도 차질 없이 운영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