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수천억달러 투자 나중에 조사받을 것"…WSJ 사설 주목한다 [사설]
WSJ는 양국의 투자 약속 금액이 한국의 경우 3년간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6.5%, 일본도 3년간 매년 4.4%를 내야 하는 규모라고 분석했다. 양국의 국방비를 보면 한국이 GDP의 2.3%, 일본이 1.8%인데 국방비의 두세 배에 이르는 엄청난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사설은 “한국과 일본 정부는 유권자와 국회에 책임을 지는 구조인데 외국 정부에 불리한 조건으로 막대한 수표를 써줄 것이라고 믿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WSJ는 수천억달러 트럼프 기금이 미국의 통치 구조(governance)와 재정 권한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이 기금은 전적으로 대통령과 측근의 재량에 따라 투자가 이뤄지는데 사실상 의회의 예산 승인, 법률 제정 없이 운용되는 국부펀드와 같다”고 비판했다. 막대한 자금이 오용되거나 부패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대통령 및 공화당 쪽 정치 인맥이 하는 사업에 흘러들어 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국 언론이 이처럼 자국 정부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선 것은 한·일 양국을 상대로 한 트럼프 측 요구가 얼마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어제 추가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등 협상단은 자신들의 말대로 시한에 쫓길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투자 방안을 중심으로 끝까지 미국 측을 설득해야 한다. WSJ의 문제 제기처럼 3500억달러는 너무나 비현실적이고 무모한 금액이다.
Copyright ⓒ 한국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한국경제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
QR을 촬영해보세요. 한경 구독하고 밀리는 덤으로 Get하자!
-
QR을 촬영해보세요.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3
한국경제 헤드라인
더보기
한국경제 랭킹 뉴스
오후 10시~1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