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정세 급변
방위비 'GDP 2% 이상'으로
공격용 무기 수출 길 열릴듯
핵잠수함 보유까지 구상
북·중·러 억지력 향상 포석
전문가 "美·日, 中과 갈등 커지면
韓에도 동참 압박 거세질 듯"
다카이치 정권은 수출할 수 있는 방위장비 품목도 늘릴 계획이다. 지금은 방위장비만 수출할 수 있는데, 공격용 무기 수출 길도 열겠다는 것이다. 반격 능력을 높이기 위해 차세대 동력을 활용한 잠수함 보유도 추진한다. 핵잠수함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이다. 나아가 전쟁 포기 조항인 헌법 9조 개정까지 협의할 방침이다. ‘전쟁 가능 국가’ 전환을 꾀하려 한다는 분석이다.다카이치 정권의 방위력 강화 추진은 일본을 둘러싼 안보 환경이 전후(戰後) 가장 어렵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북·중·러에 대응해 억지력을 높이겠다는 생각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자 곧바로 고이즈미 신지로 방위상에게 필요한 정보 수집·분석을 지시했다. 전날 기자회견에선 “한·일 관계 중요성은 한층 더 커지고 있다”며 대북 대응에 안보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다카이치 총리는 오는 27~29일 6년 만에 일본을 방문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방위력 강화 방안 등을 설명할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일 등 동맹에 방위비를 늘리라고 압박하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전날 “일본이 자립해 나라를 지킬 수 있는 형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런 일본의 움직임은 동아시아 안보 질서를 뒤흔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원덕 동국대 일본학과 교수는 “일본이 미국과 함께 중국과의 갈등 수위를 높이면 한국에도 대중국 압박에 동참하라는 미·일의 압력이 강해질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은 다카이치 내각이 한국과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형성하겠다고 말하고 있으나 향후 국제 정세나 일본 국내 상황이 바뀔 경우 독도, 과거사 문제를 꺼낼 우려가 있다”고 했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