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통합 대화형 브라우저
크롬·엣지와 본격 경쟁 나서
오픈AI가 인공지능(AI) 기반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를 공식 출시했다. 챗GPT를 브라우저에 통합해 사용자가 웹을 탐색하는 방식 자체를 재설계한 제품이다. 구글 크롬이 지배하는 인터넷 접속 환경을 대화형 브라우저로 전환하려는 야심이 담겼다는 평가다.
오픈AI는 21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와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AI 웹브라우저 아틀라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아틀라스는 이날부터 맥OS용이 전 세계에 배포되며 무료, 플러스, 프로 등 모든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윈도와 iOS, 안드로이드 버전은 차례대로 출시될 예정이다.
아틀라스의 검색창은 기존 브라우저와 다르다.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요약된 답변을 먼저 제시하고 이후 필요할 경우 관련 링크나 이미지, 뉴스, 동영상을 탭으로 탐색할 수 있다. 검색은 페이지를 클릭하는 과정이 아니라 대화 속에서 지식을 확장하는 과정이라는 게 오픈AI 쪽 설명이다.
사용자는 새 탭을 열 때마다 챗GPT와 대화를 시작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가 과거 검색 내용을 기억해 이전 주제나 작업을 이어갈 수도 있다. 사용자가 지난주 확인했던 구직 공고를 다시 불러오거나, 면접 준비를 위해 산업 동향을 요약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틀라스의 핵심 중 하나는 이처럼 사용자의 웹 활동을 기억하는 '브라우저 메모리' 기능이다. 기존 챗GPT의 기억 기능을 확장한 형태로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와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개인화된 추천과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아틀라스에는 오픈AI가 올해 초 선보인 '에이전트 모드'도 통합됐다. 챗GPT가 사용자를 대신해 탭을 열고 클릭하는 등 실제 웹사이트에서 행동할 수 있다.
AI를 통합한 브라우저 시장은 이미 빅테크 간 경쟁이 치열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엣지에 빙 챗봇을 내장했고, 구글은 크롬에 제미나이를 결합했다.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는 올여름 코멧이라는 자체 AI 브라우저를 출시하기도 했다.
[실리콘밸리 원호섭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