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수출 확대 가능성 충분… 비싼 가격, 낮은 인지도는 과제

신준섭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청년농, FTA 성공방식 찾아라] 4회 홍콩·베트남 시장 개척한 K축산

한우 홍콩 진출 10주년 행사 가보니
시식 진행될 때마다 현지인 등 몰려
지난 12일 홍콩 시내 복합문화공관 PMQ에 설치된 한우 행사 코너를 방문한 관람객들이 한우 음식에 대해 문의하고 있다.

지난 11~12일 홍콩 시내 복합문화공간 PMQ에서 열린 ‘한국 10월 문화제’에서 관람객들의 후각을 사로잡은 품목은 단연 ‘한우’였다. 전국한우협회가 설치한 한우 코너에는 시식이 진행될 때마다 줄이 늘어섰다. 30도를 웃도는 더운 날씨에도 관광객과 현지인들은 한우 등심구이를 맛보고 판매용 한우 햄버거를 구매하며 행사를 만끽했다. 12일에는 현지인이 시식용 등심을 “사갈 수 없느냐”며 문의하는 모습도 보였다. 미국 소고기나 일본 와규와는 다른 한우의 맛과 육향이 만들어낸 풍경이다.

한우가 ‘미식의 도시’ 홍콩에 발을 디딘 것은 10년 전이다. 이후 홍콩은 한우 최대 수출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한우 수출량 4만9500㎏ 중 79.2%인 3만9200㎏이 홍콩에서 소비됐다. 주요 소비처는 식당가다. 한우 고기국수 식당 ‘물라’의 지점장 테리 왕은 “4~5년 전부터 한우를 쓰는 식당이 느는 추세”라며 “한우는 쫄깃한 미국산 소와 기름기가 많은 와규의 딱 중간 정도여서 수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상품만 소비되는 시장에서 자리를 잡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홍콩 현지에 수출되는 한우는 7~9번으로 분류된 투플러스(1++) 중에서도 최상급인 9번이 주축이다. 유통사 입장에서는 경쟁 품목인 와규보다 손실률이 낮다는 점도 매력이다. 현지 한우 유통사인 브라이트 존 코퍼레이션의 KK 로우 이사(Director)는 “와규는 겉면 지방을 제외하면 수입량의 80% 정도만 유통할 수 있는데 한우는 지방이 적어 98~99%를 유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지에서는 앞으로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큰 문제는 가격이다. 로우 이사는 “9번 등급 한우 수입가격이 와규보다 1.7배 정도 비싸다”며 “가격 경쟁력이 상당히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수출하는 한우의 10.8% 정도를 취급하는 어메이징 파인푸드의 허욱 대표 역시 “10년 전만 해도 와규보다 가격이 저렴했는데 계속 가격이 올라가 지금은 추월한 상태”라고 전했다.

와규보다 인지도가 낮은 점 역시 문제로 꼽힌다. 로우 이사는 “수출을 늘리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홍콩 외에 다른 시장 개척을 가로막는 요인이기도 하다. 일본 와규는 아시아와 북미, 유럽연합까지 모두 20여개국에 수출되고 있는 반면 한우는 5개국 정도에만 수출된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출 전문 한우 농가나 마케팅에 특화한 수출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수요가 있는 만큼 실마리만 찾으면 된다는 얘기다. 한우협회 관계자는 “청년농 중 수출 전문 농가를 해보고 싶다는 문의가 실제로 있다”며 “수출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