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호선 연장·골드라인 혼잡 해소 등
정책·실용 내세운 후보 당선 전망
접경지역이면서도 서울과 인접해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힘의 ‘서울 편입’ 공약으로 유명세를 탔던 김포시는 내년 지방선거에선 ‘서울 편입’ 재거론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정권 교체로 사실상 불가능해진 데다 이 사안을 다시 들고나왔다가는 역효과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선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슈로 ‘철도’ 문제가 등장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 연장이 쟁점으로 부상해서다. 이 사안은 2022년 11월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김포 한강2기 신도시(콤팩트시티)의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내놓고도 3년이 지나도록 예비타당성(예타) 조사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22일 경기일보가 역대 민선 김포시장 선거를 분석한 결과 김포지역은 접경지역에다 신도시 등 택지개발이 활성화되기 이전인 제4회 지방선거까지는 보수 성향 정당의 우세가 뚜렷했다.
당시 집권당은 민주자유당과 신한국당, 한나라당 등으로 당명이 변경된 뒤 유정복 시장이 제1, 2대 시장을 연임한 데 이어 한나라당 소속 김동식 시장과 강경구 시장이 연이어 3, 4대 시장을 지냈다.
하지만 신도시 개발 등으로 젊은층이 대거 유입되면서 2010년부터 5, 6, 7회 등 세 차례의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했다. 유영록 전 시장이 5, 6대를 역임했고 정하영 전 시장이 7대 시장을 지냈다.
이후 2022년 제8회 지방선거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의 당선으로 보수 진영에 자리를 넘겨줬다.
이처럼 김포의 민심은 인물이나 정책보다는 중앙정치권의 정치 지형이 선거에 영향을 주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김포 출신이 아닌데도 선거에서 승기를 쥘 수 있었던 것도 이 같은 흐름과 맥을 함께한다.
하지만 지난해 윤석열 정부에 대한 심판 선거로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국민의힘은 갑·을 두 지역 모두 기존 민주당 후보들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고배를 마셔야 했다. 더욱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되고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서 내년 지방선거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는 민주당이 시장직을 탈환하느냐 국힘의 수성이냐가 관건이지만 중앙정치권의 흐름을 읽으면 내년 지방선거 결과를 예측하는 게 그리 어렵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정일 한양대 교수는 “김포는 신도시 개발 등으로 젊은 세대의 유입이 늘면서 진보와 중도 성향 유권자 비중이 커지고 있다”며 “김포시민의 핵심 관심사인 수도권 전철 5호선 연장, 골드라인 혼잡 해소 등 교통 인프라와 인물 경쟁이 맞물리는 복합 선거가 될 것이다. 단순한 정당 대결이 아닌 정책 중심, 실용 행정형 선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