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곤 “경기도 지역화폐, 실질화폐 기능있나” 김지사 “현재는 불가” [2025 경기도 국감]

이진 기자 TALK new
입력
수정 2025.10.21. 오후 4:06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 지사, 부여군 지역화폐 사용 방식 사례에 “벤치마킹해 볼 것”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21일 경기도청에서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질의를 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지역화폐를 단순 결제가 아닌 실질적인 화폐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주문했다.

위 의원은 21일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경기도에서 지금 지역화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지역화폐 카드를 식당에서 결제하면 식당 주인이 그 화폐를 가지고 다른 곳에서 결제를 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김 지사가 “안된다”고 답하자 위 의원은 “부여군의 경우 해당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식당 주인이 지역화폐를 미용실에서 결제하면 미용실 원장이 해당 화폐로 마트에 가서 장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방법들이 사회적 연대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측면들에 있다고 본다”며 “지역화폐 사용을 단순 결제만 하는 시스템이 아닌 실질적으로 지역 내 화폐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모델을 고민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김 지사는 “벤치마킹해 보겠다”고 답했다.

또 위 의원은 “사회적경제는 가치 중심의 경제를 통해 우리 지역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내년도 예산에 충분히 반영되느냐”고 물었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사회적경제국도 만들었고 사회적경제원이라는 산하기관도 만드는 등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내년도 재정 여건이 만만치 않아 산하기관에 대한 예산을 조율하고 있다.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