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제 살리려 3년 연속 확장 재정... 지역화폐 대폭 확대” [2025 경기도 국감]

이진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10.21. 오후 1:1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안전문제 관련, 통합지원본부 설치, 일상회복지원금 지원 등 대응 총력 강조
21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열린 '2025년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도 실·국장들이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년 연속 적극 재정을 통해 민생경제 회복의 디딤돌을 마련해 왔다”며 “앞으로도 민생경제 회복의 길을 끝까지 정주행하겠다”고 했다.

김동연 지사는 21일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지난 3년 대한민국은 재정의 적극적 역할이 절실한 상황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도는 도민의 삶을 지키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과감한 확장 재정을 펼쳐왔다”며 “지난 정부가 지원을 중단했던 지역화폐를 대폭 확대했고,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전국 최초 ‘소상공인 힘내GO 카드’로 골목상권에는 온기를, 지역 경제에는 활력을 더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미 관세로 인한 도내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안정자금 지원, 특례보증 한도 확대 등을 포함한 ‘수출 방파제’를 선제적으로 구축했다”며 “민선 7기에 이어 ‘경기극저신용대출 2.0’을 추진하고 있다. 벼랑 끝 서민들에게 사회 안전망과 재기의 발판을 제공하겠다”고 언급했다.

또 김 지사는 도민 누구나 따뜻한 돌봄과 안전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가고 있다며 “도민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돌봄을 받을 수 있는 ‘360도 돌봄’으로 ‘사람 사는 세상’의 온기를 높여왔다”고 말했다.

특히 김 지사는 7월 가평과 포천에 발생한 극한 호우 사례를 언급하며, 도는 ▲통합지원본부 설치 ▲일상회복지원금 지원 등 안전에 있어 ‘지나침이 모자람보다 낫다’는 원칙을 세우고 철저한 재난 예방과 신속한 현장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며 “실효성 있는 ‘근로감독권한 위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기도 합동TF를 중심으로 정부와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