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한목소리 “책임 회피 말고 임원 전원 사퇴하라”
KT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경기·서울 전역으로 확산된 가운데 국회가 24일 청문회에서 KT의 부실 대응을 강하게 질타했다.
피해가 당초 광명과 서울 금천 일대에 국한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부천·과천·고양, 서울 서초·동작 등 수도권 전역에서 확인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24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KT가 피해 발생 시점으로 지목한 지난달 5~8일 서울 동작·관악·영등포 일대에서만 15명이 26차례에 걸쳐 962만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광명·고양·과천 등에서도 수천만원대 무단 결제가 확인됐다. 특히 이달 4~5일 이틀 동안에만 97건, 3천만원이 넘는 추가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KT는 “해당 기간 피해가 없다”고 국회에 보고하는 등 사고 축소와 은폐 의혹을 자초했다.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은 KT의 대응을 싸잡아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의원은 “국가기간 통신망이라는 이름을 쓰는 것 자체가 부끄럽다”며 “국민을 기만한 행태”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재발 방지를 위해 만든 제도적 장치들이 통신사에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고 꼬집으며 임원진 전원 사퇴를 촉구했다.
같은 당 황정아 의원은 “KT 자체가 해체돼야 할 수준”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4월 SKT 해킹 사태 당시 KT가 ‘안전한 KT로 오라’며 홍보를 했던 사실을 언급하며 “정작 자사 해킹에는 허위·조작·은폐·축소만 반복했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가세했다. 이상휘 의원은 “국민 피해가 이렇게 커졌는데 어떻게 서비스를 믿고 쓰라는 말이냐”며 대표이사들의 직접 사과를 요구했다. 박정훈 의원은 “KT의 조직문화가 한심하다. 경고 사인을 무시하고 예방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민영화됐어도 공무원식 마인드가 남아 있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김장겸 의원 역시 “배경훈 과기부 장관이 미국 출장 중이라는 건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것”이라며 “해킹 사태는 해외에 있어도 귀국해야 할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인공지능(AI) 강국을 외칠 때가 아니라 보안 인식부터 바로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가 기반시설로 불리는 통신망을 관리·감독해야 할 정부의 부실 대응도 도마에 올랐다. 여야 모두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의 근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KT와 정부 모두 이번 사태를 계기로 뼈아픈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