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국정감사를 코앞에 두고도 내년 6월 지방선거 체제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1년을 넘긴 시점에 치러지는 첫 전국 단위 선거라는 점에서 사실상 현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이 짙다. 더구나 이후 2028년 총선까지 전국 단위 선거가 없는 만큼 여야 모두 ‘올인 모드’에 돌입하는 모양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서울·경기·부산 3대 격전지가 판세의 향배를 가를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더불어민주당은 내란 청산과 개혁 완수를 통한 지지층 결집, 동시에 민생 이슈 선점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현역 단체장의 프리미엄과 정권 견제론을 앞세워 반전의 기회를 노린다.
민주당은 입법권력에 이어 지방권력까지 장악해 국정 동력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지난달 26일 지방선거기획단 1차회의에서 “대선 승리를 발판으로 지방선거까지 이겨 이재명 정부 국정 철학이 지역까지 스며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청래 대표 역시 “내년 지방선거 승리에 모든 것을 걸겠다”며 기획단을 출범시키고, 직접 전국을 돌며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현장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정과 지방행정을 하나로 묶어 이재명 정부의 개혁 기조를 지방까지 확산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국민의힘은 내년 지방선거를 계엄·탄핵과 대선 패배 이후 맞는 첫 전국 단위 선거로 규정하며 정권 반격의 기회로 삼고 있다. 나경원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을 출범시키며 조직 재정비에 착수했다. 국민의힘은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등 현역 단체장의 재도전이 유력한 만큼 현역 프리미엄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계산이다. 동시에 입법·행정 권력을 장악한 민주당의 독주를 견제해야 한다는 구호를 전면에 내세우며 민심을 파고들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국민의힘은 21일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장외투쟁 집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당 지도부는 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3대 특검(내란·김건희·순직해병) 수사 연장, 언론·사법 개혁 법안을 싸잡아 ‘정치보복 입법’이라고 규정했다. 국민의힘은 “입법·행정 권력을 모두 틀어쥔 민주당의 폭주를 막아내는 길은 결국 국민의 힘을 결집시키는 것”이라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반드시 정권 견제론을 실현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