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도시관리공사, 새 도시개발사업 검토 '논란'

양형찬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구래리 ‘가오대·서현부락’ 거론
‘대상지역 사업성 저하, 사업시기 부적절’
김포도시관리공사 엠블럼. 김포도시관리공사 제공

김포도시관리공사(이하 공사)가 새로운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할 사업구역 타당성 검토에 들어가 논란이 일고 있다.

공사는 민간이 추진하던 나진감정지구 일원에 공공개발(김포이음시티)을 추진했다가 주민 반발과 행정심판 패소 등으로 중단했다.

4일 시와 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 14일 ‘○○지구 신규사업 기본구상 및 타당성 검토 용역’의 입찰 공고를 냈다. 입찰에 부친 용역의 기초금액은 1억8천여만원이다.

공사는 용역의 목적을 ‘신규 개발사업 후보지에 대한 수요분석과 기본구상 및 사업화방안 등 면밀한 검토를 통해 시정에 부합하는 지역맞춤형 신규사업 추진’이라고 밝혔다.

공사의 이번 신규사업 검토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상당수 주민들이 수해로 잦은 피해가 있고 오랜 기간 낙후돼 공사에 공공개발을 청원해와 타당성을 검토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최근까지 한 사업자가 토지작업 등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온 것으로 확인돼 이 사업자가 공사에 제안했거나 주민들이 공공개발을 건의토록 우회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같은 사업자가 지난 민선7기에도 공공개발을 제안했던 전력이 있어서다.

사업 후보지로 공사는 ‘◯◯지구 약 90만㎡’로 제시했지만, 벌써부터 양촌읍 구래리 ‘가오대·서현부락’ 일대가 아니냐는 사업구역이 지역사회에 거론되면서 우려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먼저 사업구역의 사업성 논란이다. 해당 지역은 시와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둥이 공동으로 추진 중인 ‘김포환경재생혁신복합단지’와 인접해 사업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김포환경재생혁신복합단지 조성사업도 인근의 한강2기신도시(콤팩트시티) 사업과도 경쟁해야 할 마당에 공사의 신규 사업구역은 말할 것도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시기적으로 공사의 공공개발사업 적적성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용역 기간이 120일인데, 빨리 잡아도 연말이나 용역이 완료되고 민간사업자 공모, 사업자 선정, 상급기관 타당성 검토 등의 절차를 거치려면 내년 지방선거를 지나야 하는데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다. 결국 용역비만 낭비하는 꼴이 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민선7기 시정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민선7기에도 해당구역에 대한 공공개발 제안이 있었지만, 당시 김포환경재생혁신단지와 거의 같은 구역이 E-city 개발로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업성 문제는 지금도 마찬가지고 시기적으로도 오해의 소지가 있어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공사 관계자는 “입찰 공고를 냈지만, 자료 열람 신청서 제출자가 한 곳도 없어 용역을 할 수 있을 지 걱정이다. 일단 주민청원이 있어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해보려는 차원”이라며 “용역 결과가 나와봐야 어떤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