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취업 혹은 해외 취업? Z세대 1900명의 선택

김하나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더스쿠프 직장인 서베이
최근 해외 취업 선호도 부각
Z세대 53.0% 해외 취업 선호
가장 큰 이유는 경험·성장 기회
젊은 인재 두뇌 유출 막으려면
해외 못지않은 기회 제공해야
Z세대 구직자의 절반 이상이 해외 취업을 선호하고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해외 취업을 선호하는 젊은층이 부쩍 늘어났다. 이에 따라 '두뇌 유출' 우려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우수 인재의 이탈이 장기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Z세대 구직자의 해외 취업 선호도는 어느 정도일까. 상위권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19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자. 응답자의 절반 이상(53.0%)이 '해외 취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취업'을 선택한 비중은 47.0%였다.

해외 취업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더 많은 경험과 성장 기회(39.0%)'가 꼽혔다. 이는 Z세대가 단순한 취업을 넘어 자기 계발과 커리어 확장을 중시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높은 보상(35.0%)'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22.0%)' '해외 근무문화 선호(3.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국내를 선호하는 응답자들은 '익숙한 환경(52.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국내에도 충분히 기회가 많아서'가 21.0%, '안정적인 장기 커리어를 형성할 수 있어서'가 15.0%로 나타났다. 이밖에 '국내 근무문화 선호(6.0%)' '한국 사회에 기여(5.0%)'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이 선호하는 국가는 '미국(80.0%ㆍ복수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호주(25.0%)' '일본(25.0%)' '캐나다(23.0%)' '독일(20.0%)' '싱가포르(19.0%)'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10.0%)'과 '베트남(5.0%)'을 선택한 경우도 일부 있었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이번 결과는 Z세대가 개인의 성장 기회와 국제적 경험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젊은 인재들이 국내에서도 글로벌 수준의 기회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김하나 더스쿠프 기자
nayaa1@thescoop.co.kr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