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영규 카카오 부사장, 국감 출석
카톡 연말까지 재개편 예정이지만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는 것 불가능"
황정아 의원 "이용자 강제납치 수준"
"미성년자 쇼트폼 강제 시청" 질타카카오가 최근 진행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둘러싸고 이용자들의 반발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전 버전으로의 롤백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카카오의 입장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공식 확인됐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카카오톡이 최근 엄청 큰 업데이트를 했는데 이름이 빅뱅이다"며, "국민의 공분이 들끓고 있다"고 질의를 시작했다.
그는 "휴대전화가 어느 날 갑자기 업데이트가 됐는데…업데이트 한 번에 지금 시가총액이 3조원이 날아갔고, 앱 평점은 지금 최하인 1.0점을 찍었는데도 아직 업데이트 롤백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업데이트 이전 버전으로의 롤백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들었다"면서 "롤백이라는 개념은 예를 들면 앱이 2.0일 때 1.0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2.0에서 2.1이 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전 버전으로 돌아가는 게 불가능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황 의원이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이 분명히 있다"고 묻자, 우 부사장은 "일부 업데이트를 안 받으신 분들은 계속 쓸 수 있으나 향후 AS나 이런 측면에서 약간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고 답했다. 또 "광고 판매 수익 때문에 롤백을 못 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황 의원 지적에는 "그런 얘기가 일부 커뮤니티에 있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우리) 고려 사항이 아닌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오픈채팅방을 들어가려고 하면 쇼트폼을 강제로 시청해야 되고, 카카오톡을 껐다 켜도 쇼트폼 강제 시청이 된다"면서 "이게 독점적 지위를 악용한 이용자 강제 납치 아니냐"고 질타했다. 또한 "본질적인 서비스에 변동이 이뤄졌는데 고지가 일절 없었다"며 "미성년자들이 쇼트폼을 강제로 시청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우 부사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13세 미만 아동에게는 맞춤형 광고 목적의 행태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14세 이상 이용자에게선 비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앞으로는 맞춤형 광고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 있으며, 법령을 준수해 사전 동의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13일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친구 목록을 재노출할 예정"이라며 "피드 형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 메뉴나 탭인탭 형태 등으로 오는 4분기 내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번 국감에서 이전 버전으로 롤백은 불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개편이 이뤄지더라도 과거에 알던 형태와 똑같은 카카오톡 서비스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조봄 더스쿠프 기자
spring@thescoo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