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직업 미래 보고서 9편
1ㆍ2차 신직업 어떻게 변했나
문화ㆍ예술에서 과학·기술로
2차 신직업 관심도가 더 낮아
기간 탓이지만 정부 역할 중요 더스쿠프는 新직업 미래 보고서 5~8편을 통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등장한 신직업,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정부가 발굴한 신직업을 도식화했다. 아울러 신직업별로 정부의 육성ㆍ지원 여부, 자격증 유무, 관심도 등을 분석해봤다. 그렇다면 2004~2014년 등장한 신직업과 2014~2021년 등재된 신직업 사이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정부의 신직업 발굴 정책 전과 후, 과연 무엇이 달라졌을까. 편의상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신직업을 '1차 신직업(140개)', 2014년부터 2021년까지의 신직업을 '2차 신직업(121개)'으로 구분했다.[※참고: 한국고용정보원이 공식적인 신직업 발굴 작업을 통해 등재한 신직업은 '2차 신직업'이다.]
■ 분석➀ 업종 변화 = 우선 신직업의 업종별 분류부터 살펴보자. 고용노동부의 9개 신직업 분류 체계(대분류)에 따라 구분하면 1차 신직업은 주로 문화ㆍ예술ㆍ미디어(29개)나 개인서비스(24개), 경영ㆍ기획ㆍ공공(22개) 분야에 속했다. 채용 플랫폼 잡코리아의 21개 직무 분류(소분류)로 구분하면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20개), 의료ㆍ바이오(18개) 등이 주를 이뤘다. 대분류로도 소분류로도 문화ㆍ예술 분야 신직업이 많았다.
2차 신직업은 달랐다. 대분류로는 정보통신ㆍ과학(20개), 건축ㆍ환경ㆍ안전(19개), 경영ㆍ사무ㆍ금융(17개), 문화ㆍ예술ㆍ미디어(16개), 농림어업(13개), 의료ㆍ보건(13개) 분야가 많았다. 소분류로는 인공지능(AI)ㆍ개발ㆍ데이터(15개),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15개), 고객서비스ㆍ리테일(14개), 건축ㆍ시설(13개), 의료ㆍ바이오(13개) 분야 순이었다.
1차 신직업이 문화ㆍ예술 분야에 집중된 것과 달리 2차 신직업은 미래 신기술ㆍ문화 분야를 중심에 두되, 환경ㆍ안전, 문화ㆍ예술 등 좀 더 다양한 분야에 골고루 분포했다. 가령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치유농업사, 집합건물관리사, 디지털장의사, 빅데이터전문가, 데이터라벨러, 과학커뮤니케이터, 인공지능전문가와 같은 직업들이 2014년 이후 신직업에 등재됐다. 정부가 의도적으로 신직업 정책 방향을 설정(2013년)한 이후엔 과학기술 분야와 환경, 안전 분야로 신직업의 지도가 달라졌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분석➁ 정부 지원 = 정부 육성ㆍ지원 여부도 비교해보자. 1차 신직업 중 정부가 '육성ㆍ지원을 했다'고 밝힌 신직업은 고작 8개(5.7%)에 불과했다. 정부가 신직업을 본격적으로 발굴하기 전이었으니 그럴 만하다.[※참고: 개중엔 정부가 '육성ㆍ지원을 했다'지만 실제로는 어떤 지원이 있었는지 알 수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 어떤 지원이 있었는지는 정부 차원의 분석이 필요하다.]
2차 신직업에선 정부가 지원이 크게 늘었다. 정부가 '육성ㆍ지원을 했다'고 밝힌 신직업은 78개(64.5%)였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이 100%가 아니라는 점은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일부 신직업은 육성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도 43개(35.5%)나 되는 신직업에 아무런 지원을 하지 않았다는 건 방치나 다름없다.
더구나 정부 지원을 받은 78개 신직업 분야는 소분류 기준으로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12개), 의료ㆍ바이오(10개), AIㆍ개발ㆍ데이터(9개), 공공ㆍ복지(8개), 고객서비스ㆍ리테일(8개) 순이었다. 정보통신ㆍ과학 분야와 AIㆍ개발ㆍ데이터 분야 중심으로 신직업을 발굴해 놓고는 정작 지원은 문화ㆍ예술ㆍ미디어 분야와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 분야에 더 쏠렸다는 얘기다.
■ 분석➂ 자격증 체계 = 자격증 체계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이 부분에선 크게 달라진 게 없었다. 자격증이 있는 1차 신직업은 64.3%(140개 중 90개)였다.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 비율은 각각 28.9%(26개), 71.1%(64개)였다. 2차 신직업에선 자격증이 있는 신직업이 77.7%(121개 중 94개)였고,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 비율은 27.7%(26개), 72.3%(68개)였다. 2차 신직업에서 자격증 있는 신직업 비율이 조금 늘긴 했지만, 큰 변화는 아니다.
주목할 건 新직업 미래 보고서 6편과 7편에서도 언급했던 것처럼 자격증이 신직업의 저변 확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해당 신직업의 신뢰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예컨대, 산림치유지도사의 경우, 신직업에 등재(2014년)되기 직전에 자격증 체계를 갖췄다. 그로 인해 신직업 등재나 정부 지원(법ㆍ제도 개선)과는 무관하게 자격증 체계가 완성되자마자 산림치유 산업이 자연스럽게 열렸다. 신직업의 개화開花에 자격증이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걸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신직업군의 전문가를 채용할 때, 해당 자격증이 있으면 검증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반면 자격증 체계가 없으면 선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채용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다.
■ 분석④ 정부 지원과 자격증 상관관계 = 이번엔 정부의 육성ㆍ지원 여부와 자격증 유무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자. 1차 신직업에서는 정부의 육성ㆍ지원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쉽지 않다. 반면 2차 신직업에서는 정부의 육성ㆍ지원이 절반 이상이어서 살펴볼 만하다.
정부 지원이라는 측면을 먼저 살펴보자. 정부 지원이 있었던 78개 신직업 중 63개(80.8%)는 자격증이 있고, 15개(19.2%)는 없었다. 정부 지원이 없었던 43개 신직업 중 31개(72.1%)는 자격증이 있었지만, 12개(38.7%)는 없었다. 이를 통해 정부 지원이 있으면 자격체계가 확립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격증 유무의 측면도 보자. 민간자격증이 있는 신직업 68개 중 44개(64.7%)는 정부 지원이 있었고, 24개(35.3%)는 없었다. 국가자격증이 있는 신직업 26개 중 19개(73.1%)는 정부가 지원한 반면, 7개(26.9%)는 지원 자체가 없었다.
이를 통해 자격증의 유무는 정부 지원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국가자격증은 더더욱 관련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종합하면, 신직업의 확산이나 신산업 개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자격증이 '정부 지원 여부'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어쩌면 정부가 신직업을 지원하는 가장 좋은 수단은 자격증 체계를 구축해주는 것일지 모른다.
■ 분석⑤ 관심도 비교 = 마지막으로 신직업의 관심도(일정 기간 내 네이버 검색량 기준)는 어떻게 변했을까. 검색량 '0건(제로)'인 경우는 1차 신직업에서 63개(45.0%), 2차 신직업에서 68개(56.2%)였다.
'10건 이상~100건 미만'은 각각 32개(22.8%), 36개(29.8%)였고, '100건 이상~1000건 미만'은 각각 27개(19.3%), 11개(9.1%)였다. '1000건 이상~1만건 미만'은 1차 신직업이 13개(9.3%), 2차 신직업이 5개(4.1%)였으며, '1만건 이상'은 각각 5개(3.6%), 1건(0.8%)였다.
전반적으로 2차 신직업의 관심도가 낮았고, '1만건 이상'이나 '1000건 이상~1만건 미만'의 개수나 비율은 1차 신직업보다 2차 신직업이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물론 이 결과만으로 정부 정책에 한계가 있다고 속단하긴 이르다. 1차 신직업은 등장한 지 '최소 10년 이상' 됐지만, 2차 신직업은 등장한 지 '최대 10년 이하'이기 때문이다.
다만, 향후 정부 역할에 따라 관심도가 개선되면 신직업 확산이나 신산업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정부의 역할이란 얘기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신직업 등재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기 직전인 2021년이 마지막이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