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문화 그리워하는 현대인들
복고풍 콘텐츠 소비 비율 높아
젊은층 복고 문화 신선하다 느껴
연령대 무관하게 문화 향유해
젊은층을 중심으로 옛날 문화를 '힙하다'고 여기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만 13~59세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2025 복고(레트로) 문화 및 명작 콘텐츠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74.1%가 '과거의 아날로그 삶의 방식이 그립다'고 응답했다. 73.7%는 '옛날 불편했던 것들이 요즘엔 낭만으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과거 시절을 그리워하며 복고 문화를 찾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옛것이 주는 익숙함이 그리워서 복고 문화를 찾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75.1%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복고 콘셉트가 등장하는 것이 반갑다(75.8%)' '요즘엔 복고 문화가 오히려 새롭고 신선하게 느껴진다(68.8%)'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많았다.
현대인이 즐기는 복고 문화로는 '복고풍 노래(53.3%·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복고풍 패션(43.1%)' '복고풍 콘텐츠(42.6%)' '복고풍 카메라(38.8%)'가 뒤를 이었다. 복고풍 콘텐츠론 '고전 영화·드라마'를 가장 많이 소비했다. '최근 1년 이내 고전 영화나 드라마를 시청한 경험이 있다'고 말한 응답자는 71.6%였다.
당시 문화를 경험해보지 못한 젊은층도 고연령층 못지않게 복고 문화를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복고 문화를 주로 향유하는 연령층으론 2030세대가 가장 많았다. 복고 문화를 즐긴다고 응답한 20대와 30대의 비율은 각각 57.5%, 55.7%였다. '40대(32.0%)' '50대(20.7%)' '60대(5.1%)' 순이었다.
복고 문화를 즐기는 데 나이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많았다. 전체의 55.6%가 '앞으로 복고 문화를 즐기는 세대 경계는 더욱 흐려질 것 같다'고 말했다.
조서영 더스쿠프 기자
syvho11@thescoo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