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조사 제품 1만여 개 중 22.5% 과소실량
“정량표시제, 소비자 보호와 직결되는 신뢰 문제”
22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간사·전남 목포시)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정량표시상품 내용량 조사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조사된 제품 1만3410개 중 3018개(22.5%)가 표시량보다 적은 ‘과소실량’ 제품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법적 허용오차 내에 있지만 평균적으로 적게 채운 ‘적합 과소실량’ 제품은 2827개(21.1%)였다. 품목별로는 ▲액화석유가스(LPG) 47.4% ▲꿀 37.5% ▲도료 37.1% ▲윤활유 30% 등에서 과소 평균실량 비중이 높았다.
문제는 정부의 실태 점검 규모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산업통상부 소속 국가기술표준원이 시행하는 ‘시판품 조사’는 연간 1000개 품목에 불과하며 올해 예산도 1억4800만 원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 기준 ▲중국 2만1000개 ▲일본 16만개 ▲호주 23만6000개 등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치다.
또한 시판품 조사를 담당하는 한국계량측정협회는 법적 조사 의무만 부여받았을 뿐 제도 전반을 총괄할 전담 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정량표시제도는 단순한 계량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 보호와 직결되는 신뢰의 문제”라며 “평균량 규제 법제화와 시판품 조사 예산 확대, 전담 기관 지정 등을 통해 국민 신뢰에 부응하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