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 이내 짧은 수술, 인지·행동발달 영향없어
흡입마취제 등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 도움 기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마취통증의학과 이지현·지상환 교수 연구팀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생후 2세 미만 소아 40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서 짧은 전신마취가 인지 능력과 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전신마취는 어린이 수술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마취 가스’라 불리는 흡입마취제가 주로 사용된다. 다만 3세 미만 영유아가 3시간 이상 혹은 반복적으로 전신마취를 받으면 뇌 발달에 해로울 수 있다는 경고가 있어 부모들이 부작용을 우려해왔다.
연구팀은 약 2시간 이내의 짧은 수술을 받은 아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눴다. 한 그룹은 흡입마취제 세보플루란만 사용한 단독군, 다른 그룹은 세보플루란 농도를 30% 줄이고 진정제 덱스메데토미딘과 진통제 레미펜타닐을 함께 투여한 병용군이었다. 두 그룹의 평균 마취 시간은 약 75분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후 아이들이 만 28~30개월이 되었을 때 비언어적 지능검사(K-Leiter-R)와 보호자 보고식 행동·정서 발달 평가(CBCL)를 통해 발달 상태를 비교했다. 최종 분석에는 343명이 포함됐다.
그 결과 두 그룹 간 지능지수(IQ), 언어 능력, 행동·정서 발달 등 모든 평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흡입마취제를 줄이고 보조 약제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아이들의 인지나 정서 발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단회 전신마취의 단기 신경발달 영향을 객관적으로 검증한 중요한 결과”라며 “현재 널리 사용되는 흡입마취제가 비교적 안전하다는 점을 보여주었고 향후 소아 마취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nesthesiology’(IF 9.1)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