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깨씨무늬병’ 확산, 농업재해 인정 시급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벼 깨씨무늬병. 농민신문DB
막바지 수확기에 닥친 벼 깨씨무늬병 확산에 농민들이 당황하고 있다. 폭염과 극한호우에도 불구하고 평년작에 버금가는 ‘풍년’을 예상했었지만 막상 수확해보니 피해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1등급 비율과 도정수율 하락,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남 고흥·보성·장흥 등 피해가 큰 지역에서는 13일 기준 1등급 비율이 3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신속한 농업재해 인정으로 농가 불안을 잠재우고 피해 벼가 정상 벼에 혼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신정옥 한국쌀전업농 전남도연합회장은 “정부 대책이 지연되면서 불안감을 느낀 농가 상당수는 서둘러 수확에 나서고 있다”며 “대책 마련이 이달 중순을 넘기면 피해 규모 산정과 보상 범위 책정에 혼선이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중 농업재해 인정 및 복구비 지원 여부를 신속히 결정할 방침이다. 또한 깨씨무늬병 등 피해 벼에 대해 농가 희망물량 전량을 매입하기로 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농민신문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