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땐 사망 위험도…노인·어린이 치명적
정부, 지난해 적정 관리 시범사업 운영
참여 병원 효과 뚜렷…인력난 해소 과제
13일 질병관리청과 OECD 최근 보건 통계 등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하루 31.8 DID(Defined Daily Dose)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자료가 공개된 OECD 회원국 중 두번째로 높았다. 2022년 25.7 DID로 네번째를 차지했던 순위가 오른 것이다.
항생제 내성은 이미 국제사회에서 심각한 보건 위협으로 인식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이를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10대 요인으로 지목했다.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균에 감염되면 치료가 어려워지고, 입원 기간과 치료 비용이 늘며 심하면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인에게 치명적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11월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ASP)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ASP는 병원 내에 전문 인력을 둬 항생체가 꼭 필요한 경우에 최적 용량과 투여 기간을 설정하고, 이를 철저히 지켜 사용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을 뜻한다.
질병관리청이 주관하고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번 시범사업은 현장에서 긍정적인 초기 성과를 보였다. 참여병원은 ‘제한항생제 프로그램’을 운영했지만, 미참여 병원은 56.6%만 운영 중이었다. 또한 미생물 검사 결과에 따라 적합한 항생제로 변경하도록 의료진에게 중재하는 활동에서도 참여 병원(59.2%)이 미참여 병원(10% 미만)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환자에게 최적화된 치료를 제공하고 내성균의 발생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향후 과제로 ‘전문 인력 부족’이 손꼽혔다. 조사 대상인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중 절반(53.6%)가량이 해당 이유로 사업에 참여하지 못했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 2차 연도 시범사업 참여 기관 공모에 나설 계획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은 감염에 민감한 노인과 어린이의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일”이라며 “ASP가 의료 문화로 정착해 중소·요양병원까지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