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글값 3년새 44% 급등 ‘빵플레이션’…소비자, OOO·대형마트로 ‘빵지순례’

이휘빈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신용데이터 “베이글 44%, 샌드위치 32%, 소금빵 30% ↑”
편의점·대형마트, 자체 브랜드 빵 늘려…가격 낮고 종류 다양
대형 프랜차이즈 승승장구, 소규모 빵집들은 매출 하락에 적자
올해 상반기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 등의 가격이 30% 이상 올랐다.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관계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빵집에서 두세 개만 골라도 금세 1만원에 육박하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편의점과 대형마트의 자체 브랜드 빵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9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판매 기준이 높은 빵은 소금빵(15.7%), 샌드위치(15.0%),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 순이었다.

가격이 가장 높아진 빵은 베이글로, 6월 말 기준 4400~4900원이었다. 2022년 6월보다 44%나 올랐다. 이어 샌드위치(32%), 소금빵(30%), 토스트(18%), 도넛(14%)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빵이 비싸지자 편의점과 대형마트 빵이 뜻밖의 호재를 맞았다. 9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최근 PB빵 매출이 높아지며, 전체 빵 매출 중에서 20%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CU는 2023년 9.4%에서 2025년 9월까지 21%, GS25은 21.1%에서 24.9%, 세븐일레븐은 15%에서 20%로 앞자리가 바뀌었다.

이들은 늘어난 수요에 새로운 자체브랜드 빵들을 계속해서 판매하고 있다. 대체로 1500~2400원으로 가격이 저렴한데다 종류도 생크림빵, 바게트, 카스텔라, 샐러드빵 등 다양하다.

대형마트 역시 제빵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홈플러스는 자체브랜드 ‘몽 블라제’, 롯데마트는 ‘풍미소’, 이마트는 ‘노브랜드 베이커리’를 운영중이다. 기존 빵집들처럼 종류가 다양한데다 계절별 특별메뉴,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냉동생지(빵반죽)’ 등을 판매하고 있다.

반면 소규모 빵집들은 한숨을 쉴 수밖에 없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커리·제과점의 월평균 매출은 약 907만원으로, 최근 2년간 매출 감소세에서 적자로 바뀌었다. 매출액보다 임대료·재료비·인건비 등이 높아서다. 이 가운데 대형프랜차이즈 빵집은 매출 지수가 높고 폐업률이 낮았으나, 개인 제과점은 상대적으로 매출이 적고 폐업률이 높았다.

한편 이번 결과는 KCD의 매출관리 서비스인 ‘캐시노트’를 이용하는 사업장 중 2022년 6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전국 3만8000여 제과업 사업장과 1만5000여 카페·제과점 등의 포스·배달앱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