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부 온다면 당장 소화 불가능"
데이터센터 유치도 '감감무소식'
24조원 규모 추자도 해상풍력 사업이 전력 수용 문제로 난항이 예상됩니다.
제주자치도가 사업자 공모 시 계통연계를 제주 본섬으로 한정하도록 조건을 달았지만, 정작 제주에서 이 전력을 소화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2.37GW급 전력...제주 본섬이 감당할 수 있나
추자 해상풍력 사업은 추자도 해역 동측과 서측에 2.37GW급 풍력발전 단지를 만드는겁니다.
국내 해상풍력 사업 가운데 최대 규모이고, 2035년부터 전력 생산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총 사업비는 약 24조원이나 됩니다.
문제는 이렇게 생산된 막대한 전력을 제주가 받아낼 수 있느냐는 겁니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현기종 의원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따졌습니다.
추자 해상풍력 사업 현장설명회에서 나온 계통연계 조건은 제주 본섬으로 전부 또는 일부 연결이었습니다.
현 의원은 "만약 본섬으로 전력이 전부 온다면 소화할 수요가 있나"라고 물었습니다.
김남진 제주자치도 혁신산업국장은 "전부 온다고 가정한다면 당장 소화할 여건은 되지 못한다"고 답했습니다.
데이터센터 유치 '감감무소식'...대안 없어
제주도가 내놓은 대안은 데이터센터 유치였습니다.
대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풍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구상입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진척이 없습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8월 틸론과 인터넷 데이터센터 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업무협약을 맺은 기업과 계속 소통은 하고 있는데, 기업 상황이 당장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고 털어놨습니다.
결국 제주 본섬에서 추자 해상풍력이 생산한 전력을 모두 소화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타 지역 연결하려면...완도 주민 기금도 내야
그렇다면 전력 일부만 제주 본섬에 보내고 나머지는 타 지역에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안 그래도 제주는 전남 완도와 사수도 해역 관할권을 놓고 다투고 있습니다.
만약 전력을 완도로 계통연결하게 되면 연결되는 지역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더 큰 문제는 비용입니다.
풍력 사업자는 제주에 도민이익공유 기금으로 연간 1300억원을 내야 합니다.
여기에 만약 완도로 계통연결하게 되면 완도 주민을 위한 기금도 별도로 마련해야 합니다.
제주자치도는 "계통연결되는 다른 지역에도 상당한 이득이 있다"고 답했지만, 사업자 입장에선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습니다.
유력 사업자도 손 뗐다..."사업성 고민"
이런 복잡한 조건들이 겹치면서 유력한 사업자로 꼽히던 노르웨이 국영기업 에퀴노르가 최종 불참했습니다.
제주도와 제주에너지공사는 최근 사업희망자 재공모 1단계 평가 결과를 공개했는데, 한국중부발전이 단독 응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