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왕놀이’, 근정전 어좌 앉았다… “이배용이 권했다” 폭로

김지훈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3:4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휴궁일 비공개 방문, 국보 223호 임금 자리 착석 확인
“1~2분이었다” 해명 논란
이기헌 의원이 22일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경복궁 방문 관련 자료들. 김건희 여사(왼쪽에서 두 번째) 등이 경복궁 내부를 둘러보는 모습.

2023년 9월 12일,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휴궁일의 경복궁.
그날 김건희 여사는 국보 제223호 근정전 내부로 들어가 임금이 앉는 어좌에 착석했습니다.

국정감사에서 “앉으라 권한 사람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 “어좌에 앉았다”… 정용석 사장, 끝내 인정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피감기관으로 출석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은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추궁 끝에 김건희 여사가 근정전 어좌에 앉았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정 사장은 처음엔 “정확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회피했지만, 거듭된 질의 끝에 “김 여사가 어좌에 앉았고, 이배용 전 위원장이 권했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만약 앉았더라도 1~2분 정도였을 것”이라며 해명했습니다.
국정감사 현장에 제시된 ‘근정전 어좌 착석 의혹’ 관련 사진. (이기헌 의원 제공)

■ 휴궁일, ‘VIP’로 기록된 비공개 동선

이기헌 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2023년 9월 12일 경복궁 상황일지’에는 김 여사가 오후 1시 35분 협생문을 통해 입장해 근정전→경회루→흥복전 순으로 이동한 사실이 기록돼 있습니다.
이날은 화요일, 일반 관람이 중단되는 휴궁일이었습니다.
일지에는 김 여사가 ‘VIP’로 표기돼 있었으며, 근정전 내부 출입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근정전은 경복궁 내에서도 일반인의 접근이 철저히 제한된 공간으로, 어좌 뒤편엔 해·달·다섯 봉우리·파도·소나무가 그려진 ‘일월오봉도’가 놓여 있습니다.
그 자리에 앉았다는 건 ‘왕의 자리’를 실제로 점유했다는 의미입니다.
경복궁 상황실 관리 일지에는 ‘VIP 협생문 입장–근정전–경회루–흥복전’ 동선이 기록돼 있다. (이기헌 의원 제공)

■ 이배용, ‘금거북이 매관매직’ 인물… 권유 정황 확인

당시 현장에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함께 있었습니다.
이 전 위원장은 최근 ‘금거북이 매관매직’ 의혹으로 논란이 된 인물입니다.

정용석 사장은 “기획은 국가유산청이 맡았고, 이 전 위원장은 부속실 요청으로 참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회 질의 과정에서 정 사장은 “김 여사가 어좌에 앉았고, 이 전 위원장이 이를 권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로써 김 여사의 근정전 내부 착석 경위와 관련한 핵심 인물의 이름이 공식 확인됐습니다.
22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 (유튜브 캡처)

■ “1~2분 앉았을 뿐” 해명에도 논란 지속

정 사장은 “계속 이동 중이었기 때문에, 설령 앉았다 해도 1~2분 정도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근정전은 조선 왕권의 상징이자 국보 제223호로 지정된 유산으로, 일반 관람객은 외부 월대까지만 접근할 수 있으며 내부 진입은 엄격히 제한됩니다.
국가유산청은 “당시 광화문 월대 복원행사와 아랍에미리트 국왕 방한 일정에 앞선 현장 점검 차 방문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렇지만 김 여사가 해당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방문 목적을 둘러싼 논의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 여사는 이보다 한 달 정도 뒤인 2023년 10월에도 이 전 위원장 등과 함께 휴궁일에 경회루를 찾은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에서는 외부 인사와 차담회를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가유산을 둘러싼 관리·운영 절차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JIBS 댓글 정책에 따라 JIBS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