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학살 주역' 박진경·함병선 비석에 역사 안내판 설치된다

신효은 기자
입력
수정 2025.10.17. 오후 5:3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주4·3 당시 학살 주역으로 꼽히는 함병선(왼쪽)·박진경 비석

JIBS가 4·3 당시 학살 주역으로 평가 받는 함병선·박진경 비석에 안내판 설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보도한 것과 관련해 제주도가 안내판 설치를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최근 관계부서에 안내판 설치 검토를 지시했고, 제주도는 이에따라 4·3 진상보고서와 연계한 자문단을 구성하고 협의를 거쳐 함병선·박진경 비석 옆에 안내판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또 4·3 역사 왜곡 정당 현수막 게시 행위에 대해서도 철거 방안까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국회에 계류 중인 4·3 왜곡시 처벌 조항이 담긴 4·3 특별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할 계획입니다.

앞서 JIBS는 4·3 당시 제2연대장으로 1948년 12월부터 제주에 주둔하며 양민학살을 주도한 함병선의 공적비의 위치를 확인해 보도했습니다.

4·3 당시 대표적 비극인 북촌리 학살 사건이 함병선 제주 재임 당시 발생했고, 봉개·용강 일대는 완전히 불에 탄 뒤 함병선의 이름을 따 한 때 함명리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4·3 진상보고서에서도 주요 가담자로 이름을 올린 함병선은 4·3의 비극을 상징하는 사건들이 발생한 시기에 특히 대규모 학살이 있던 시기에 지위 체계 최정점에 있던 인물입니다.

해당 공적비는 함병선이 제주 부임 당시 서귀포 지역에 세워진 것으로 1990년대 말 4·3 진상규명 운동이 본격화되던 시기 제주시 지역으로 이전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