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억대 연봉자 8539명...17개 시도 중 최저
△ 높은 물가에 낮은 임금...실질 구매력 바닥
제주 월급쟁이들의 소득 수준이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급여 수준이 17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일 뿐 아니라, 억대 연봉자 수도 전국에서 가장 적었습니다.
억대 연봉자 8539명...전국의 0.6%
국민의힘 최은석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근로소득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제주에서 연 1억원이 넘는 급여를 받는 근로소득자는 8539명이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연 1억원이 넘는 급여를 받는 근로소득자는 139만3062명입니다.
경기가 42만7000여명으로 30.7%를 차지했고 서울이 41만6000여명으로 29.9%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 두 지역에만 전체 억대 연봉자의 60.6%가 몰려 있습니다.
제주는 17개 시도 가운데 1억원 초과 근로소득자 수가 가장 적었고 비율은 0.6%에 불과했습니다.
전국적으로 1억원이 넘는 고소득 근로자는 2014년 52만6000여명에서 2023년 139만3000여명으로 10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었지만 제주는 이런 흐름에서 소외됐습니다.
월평균 급여도 전국 꼴찌
더 심각한 건 일반 근로자들의 급여 수준입니다.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를 보면 2023년 기준 제주 지역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300만원대 초반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평균 월급은 400만원대인 반면 제주는 이에 한참 못 미칩니다.
울산과 서울 등 상위권 지역과는 100만원 이상 격차가 납니다.
2023년 기준 전국 근로소득자의 평균 총급여는 4332만원입니다.
1억원이 넘는 급여를 받는 고소득자는 전체 근로소득자 2085만2000명의 6.7%에 해당합니다.
상위 6.7%가 억대 연봉을 받는 구조지만 제주는 이런 고소득 일자리 자체가 거의 없습니다.
높은 물가에 낮은 임금...이중고
제주는 전국에서 물가가 가장 비싼 지역 가운데 하나입니다.
섬 지역 특성상 물류비가 추가로 들어가고 부동산 가격도 높습니다.
하지만 급여 수준은 전국 최하위권이어서 실질 구매력은 더 떨어집니다.
관광과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 때문에 제조업이나 IT 산업이 발달한 수도권과 임금 격차가 큽니다.
제주로 이주했던 주민들이 다시 돌아가는 가장 큰 이유가 양질의 일자리 부족입니다.
제주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악순환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영훈 도정은 월급을 많이 주는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20개 상장기업을 유치하고, 항공우주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혀왔습니다.
하지만 상장기업 유치 공약은 사실상 실패에 가까운 상황이고, 항공 우주산업 분야에서 제주도민들에게 주어진 일자리 역시 양질의 일자리와는 거리감이 있습니다.
'환상의 섬'이라는 제주는 고소득 일자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평균 급여마저 최하위권이어서 월급쟁이들에겐 '환장의 섬'이 돼 버린지 오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