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70대가 제일 잘 챙겨 먹는다"...20대 62% 아침 걸러

고우리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침 식사[연합뉴스]
아침식사를 거르는 한국인이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대 여성 중엔 3분의 1만 아침을 챙겨 먹었습니다.

5일 질병관리청의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세 이상 국민의 아침식사 결식률은 35.3%였습니다.

3명 중 1명 이상이 아침을 거른 겁니다.

아침을 먹지 않는 국민의 비율은 2015년 26.2%에서 매년 꾸준히 늘어 10년간 9.1%p 상승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에서 아침을 거르는 비율이 62.1%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20대 여성은 3분의 2가 넘는 67.5%가 아침을 먹지 않았습니다.

이어 남녀 통틀어 30대(46.8%), 40대(39.1%), 10대(35.5%), 50대(25.3%) 순으로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았습니다.

아침을 가장 잘 챙겨 먹는 연령대는 70대 이상으로, 4.9%만 아침을 걸렀습니다.

그간 국내외에서는 아침을 건너뛰면 비만, 당뇨병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여러 차례 나온 바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지난해 식사 건너뛰기 패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아침을 거르는 그룹에서 심장대사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고, 이어 점심, 저녁 순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연구에선 아침을 거르는 이들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LDL), 중성지방, 공복 혈당, 혈압 수치가 세 끼를 거르지 않는 그룹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침 #식사 #질병관리청 #결식를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