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가유산청 회의서 부검 결정…결과 일주일 걸려홍태용 김해시장이 화포천 황새 폐사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지난 15일 화포천습지과학관 개관식 행사에서 천연기념물 황새 1마리가 폐사하며 논란이 된 지 8일 만이다.
이번 황새 폐사와 관련해 환경단체 등에서 “사람 중심의 전시성 행정이 문제였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동물을 행사에 동원하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방사 행사는 전문가의 모니터링 아래 진행됐지만, 앞으로는 더 세심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네 가지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외부 전문가와 함께 절차 전반을 독립적으로 점검을 하고 결과와 개선안을 투명하게 밝힌다는 방침이다. 또 야생동물 보호나 이송 방사 전 과정의 안전 기준과 체크리스트를 강화해 모든 유관 부서와 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개선안이 시행되기 전까지는 동일 또는 유사 행사를 보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장 인력과 관계자의 정기 교육과 모의 훈련을 의무화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하는 매뉴얼을 세부화하는 한편 지역 내에 생태 동물 복지 전문가와 단체, 또 시민과 상시 협의 채널을 마련해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다만 홍 시장은 절차상 문제는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홍 시장은 “이번 행사는 지난 8월 국가유산청과의 협의와 허가 절차를 거쳐 진행됐으며, 수의사와 전문가의 모니터링 아래 시행됐다”면서 “이송 과정 또한 기존 예산상세공원의 매뉴얼에 따라 진행됐고, 사용된 케이지도 검증된 규격“이라 밝혔다. 또 사망 원인과 책임 여부에 대해서는 ”부검 결과를 봐야 될 것 같다. 지금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며 대답을 피했다.
현재 폐사된 행사는 현재 보전처리 후 냉동보관 중이며 명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국가유산청에 부검을 의뢰할 예정이다. 부검은 수의학과가 있는 대학을 통해 진행될 전망이며, 결과는 약 일주일 내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