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복지재단, ‘대표이사제’ 도입 추진…조직 전문성 강화

권환흠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시설 위주 사업서 탈피
정책·연구 기능 확대 목적
양산시복지재단이 조직 전문성 강화를 위해 ‘대표이사제’ 도입을 추진한다. 복지시설 위주로 운영돼온 재단의 기능을 정책 개발과 연구 중심으로 확대하려는 취지다.

양산시청 전경.
22일 국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양산시는 ‘양산시 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이달 초 입법예고 했다. 조직 기능 확대와 경영 환경 변화에 따라 비상근 이사장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실질적 책임경영이 가능한 대표이사제를 도입하겠다는 취지다.

2015년 창립한 복지재단은 현재 직원 77명 규모로 양산시도시통합관제센터에 사무실을 두고, 산하에 양산시장애인복지관, 웅상종합사회복지관, 양산시노인복지관, 웅상노인복지관 등 4개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또 양산노인일자리창출지원센터, 양산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시나브로복지관도 위탁운영을 하고 있다. 올해 복지재단 예산은 시비 52억 원이다. 재단을 대표하는 이사장은 양산시장이 당연직으로 맡게 되고, 실무는 공모를 통해 선출한 본부장이 담당한다.

이만한 규모에도 본부장이 실무책임자다보니 운영 대부분이 시설 관리에 집중돼 있다. 양산시 관계자는 “현재 재단은 본부장 체제로 운영 중이지만, 이는 시 조직으로 보면 과장 또는 팀장급 수준으로 실무에 집중된 구조”라고 전했다. 지난해 실시된 ‘복지재단 중장기 발전계획 용역’ 결과도 시설 중심의 사업 운영에서 벗어나 복지정책 개발과 연구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진단이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내년 종합복지허브타운 이전을 앞두고 재단 조직정비에 나설 계획이다. 대표이사제를 도입하고 경영지원팀과 사업운영팀 등 2개 팀 체제로 개편하면서, 재단이 복지정책 연구와 사업 발굴 등 ‘정책형 복지재단’으로 전환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사장은 그대로 양산시장이지만 대표이사는 복지와 행정 사이의 중간자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문성과 공공성을 겸비한 재단 대표인사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시는 오는 11월 양산시의회 정례회에 개정안이 심의·통과되면 연말까지 정관 개정 및 이사회 의결을 거쳐 내년 초에 대표이사 공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추가적인 대표이사 인건비는 내년 1회 추경 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상근 대표이사 체제를 도입해 연구 기능을 강화하고 내부 팀제를 도입해 복지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려 한다”면서 “이제는 단순한 시설 운영을 넘어 양산시 복지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관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