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전 직원 “유경옥, 가방 교환 당시 영상 통화… 김건희라 생각”

이영실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걸걸한 목소리” 퇴근 후 유튜브 보고 확인
김건희 씨가 지난달 2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해있다.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샤넬 매장 전 직원이 ‘유경옥 전 대통령실 행정관이 샤넬 가방과 구두를 교환하러 왔을 때 김건희 여사와 통화를 한 것 같다’고 증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 27부(재판장 우인성)는 22일 오전 김건희 씨의 3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이날 오전 재판에는 샤넬 매장 전 직원인 A 씨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유경옥 전 행정관은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통일교 쪽으로부터 김 씨 선물 명목으로 받은 샤넬 가방을 전달받아 같은 브랜드의 가방과 샌들로 교환했다. A 씨는 지난 2022년 4월 11일 유 전 행정관이 샤넬 매장에서 선물을 교환할 때 응대한 직원이다.

A 씨는 특검팀이 통화 상대방 목소리의 특징을 묻자 “걸걸한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유경옥의 통화 내용이랑 목소리 등을 기억하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냐”라는 질문에 A 씨는 “(그때 당시에 응대 시간이 길어) 특이한 상황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통화 목소리가 당시 기사에 나온 목소리랑 비슷해서 (기억한다)”고 답했다. A 씨는 ‘(당시에) 김건희 여사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퇴근 후 유튜브를 보고 확인한 내용을 특검 조사 때 진술했다고 했다.

유 전 행정관과 통화 상대방의 관계가 어때 보였는지 특검팀이 묻자 A 씨는 “통화 상대방이 상급자 같고 유경옥씨는 존댓말을 사용했다. 제품 선택은 통화 당사자가 했다”고 증언했다. 또 A 씨는 “유 전 행정관이 영상통화했다고 한 거 기억나냐”라는 재판부의 질문에 “매장에서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이 안 된다. 상품을 보여주려면 무조건 영상통화를 해야해서 영상통화로 기억한다”고 했다.

김 씨 변호인은 A 씨에게 “하루만 본 고객의 인상착의와 행동을 기억하는 게 가능하냐”, “문제가 돼서 수사 진행된 후에 통화 의미를 재해석했을 가능성은 없냐” 등의 질문을 했다. A 씨는 “10년 정도 일해서 기억력이 좋고 그때 상황이 특징적이라서 기억한다”라고 답변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