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건희 경회루 출입 질타…“용상엔 왜 앉았나”

안세희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의 경복궁 근정전 용상 착석 의혹과 관련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가 2023년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해 ‘왕의 의자(용상)’에 앉았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민주당 양문석 의원은 김 여사와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등이 2023년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했을 때로 추정되는 사진이 공개된 것과 관련, “김건희의 대한민국 국보 불법 침범 및 훼손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양 의원은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하며 경회루 방문에 동행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김건희가 왜 경회루에 갔냐. 일반 민간인이 근정전 용상에는 왜 앉았느냐”고 따져 물었다.

양 의원은 “누가 앉으라고 그랬나. 일개 아녀자가”라며 “최 전 청장이 앉으라고 권유한 건가, 아니면 김건희가 스스로 가서 앉은 건가. 분으로 따지면 1분, 2분, 3분, 4분, 5분? 앉아서 무슨 얘기를 했느냐”고 다그쳤다.

그러면서 “오늘 대답하고 나가는 게 신상에 이로울 것”이라고 했다.

같은 당 조계원 의원 역시 정 사장에게 “용상이 개인 소파인가, 김건희가 슬리퍼 짝짝 신고 스스로 (용상에) 올라갔느냐”며 “그 자리에서 왕을 꿈꿨나 보다”라고 비꼬았다.

정 사장은 당시 김 여사의 경회루 방문 사유와 관련해 “월대 복원 기념식과 아랍에미리트(UAE) 국왕 국빈 방문이 있었고, 답사 차원에서 설명을 들으러 간 것으로 기억된다”며 “(김 여사 등이) 국왕 내외분의 동선을 (점검)하면서 근정전을 들렀다가 경회루로 갔다가 흥복전까지 가셨다”고 답했다.

이어 “기획은 국가유산청에서 진행했고, 이배용 (전) 위원장 참석은 부속실에서 요청했던 것으로 기억한다”며 “(이 전 위원장이) 와서 설명해주셨던 걸로 기억한다”고 설명했다.

최 전 유산청장이 김 여사에게 용상에 앉으라고 권유했느냐는 질문에는 “권유하셨는지는 잘 모른다.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며 “(여사) 본인이 가서 앉으셨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계속 이동 중이었기에 만약에 앉아 계셨다 하더라도 오래(는 아니고)…, 1∼2분 정도”라고 덧붙였다.

국회 문체위원장인 민주당 김교흥 의원은 ‘당시 상황이 구체적으로 기억나지 않는다’는 정 사장을 향해 “국감장이 우습게 보이느냐”며 “제대로 얘기 안 하면 여아 간사, 위원님들 간에 합의해 위증죄로 고발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시사인 주진우 편집위원은 지난 20일 김 여사와 이 전 위원장이 경호요원으로 보이는 인물들과 함께 궁궐 내 건축물 안에 서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

이를 두고 2023년 10월께 일반인이 입장할 수 없는 휴궁일에 김 여사 등이 경회루를 방문한 모습이라는 추정과 함께 ‘종묘 차담회’ 의혹으로 수사를 받는 김 여사가 국가 유산을 사적으로 유용한 또 다른 사례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