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높이 사설] 국가 전산망 화재, 나라 컴퓨터가 멈춘 날
이번 화재는 단순한 기계 고장이 아니라, 사람의 실수로 생긴 사고(인재)일 가능성이 높다. 당시 작업자들이 전원을 완전히 끄지 않은 채 배터리를 분리하다가 불꽃이 튀면서 폭발이 일어났다는 증언이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로, 잘못 다루면 폭발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위험을 알고도 조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사고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2년 전에도 같은 곳에서 전산 장애가 있었다. 그때도 며칠 동안 정부와 지자체의 업무가 멈췄다. 나라의 전산망은 사고가 나더라도 다른 서버가 대신 작동해야 하지만, 이번에도 대체 시스템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국민은 “왜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느냐”며 분노했다. 정부는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게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번 화재로 그 약속이 무색해졌다.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하루 빨리 시스템을 복구해 국민 피해를 줄이는 일이다. 하지만 단순히 복구로 끝내서는 안 된다. 리튬배터리의 위험성에 대한 대책도 꼭 필요하다. 정부와 기관들은 이번 일을 계기로 안전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 작은 부주의가 나라 전체를 멈추게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안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진정한 ‘디지털 강국’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 어린이 사설 쓰기
2025년 여름, 부산에는 밤새 비가 내렸습니다. 아침이 되자 하늘은 잿빛이 됐고, 천둥 소리가 가까워졌습니다. 보통이라면 휴대전화에 ‘기상청 호우주의보 안내문자’가 와야 했지만, 그날은 아무런 알림도 오지 않았습니다.
학교에 가는 길, 하천 근처 도로가 물에 잠기기 시작했습니다. 지훈이는 우산을 쓰고 걷다 미끄러질 뻔했고, 근처에서 출근하던 어른들도 갑자기 불어난 물에 놀라 발길을 돌렸습니다. 학교 방송도 평소와 달리 조용했습니다. 알고 보니 국가재난정보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작동을 멈춘 것이었습니다. 전날 밤, 전산 서버 일부가 폭우에 침수돼 데이터 전달이 끊긴 것입니다.
학교에서는 비상대피 안내방송이 늦게 나갔고, 운동장에서 체육 수업을 하던 학생들은 선생님이 직접 판단해 교실로 대피시켰습니다. 학부모들은 “아이들 괜찮나요?”라는 전화를 계속 걸었습니다. 하지만 통신망이 불안정해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그날 오후, 재난 시스템이 복구되고 나서야 ‘부산지역 호우경보 발효, 침수우려지역 대피 바랍니다.’라는 문자가 뒤늦게 도착했습니다.
아이들은 말없이 휴대폰을 봤습니다. 지훈이는 그날 일기에 이렇게 썼습니다. ‘기계는 빠르지만 완벽하지 않다. 경보가 울리지 않아도 우리가 스스로 행동할 줄 알아야 한다. 재난은 기다려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 후 학교는 매달 ‘재난 알림이 작동하지 않을 때를 대비한 모의훈련’을 하기로 했습니다. 학생들도 안전신문고 앱 외에 오프라인 비상연락망과 대피장소지도를 직접 만들었습니다. 비로소 모두가 깨달았습니다. ‘재난 정보는 중요하지만, 사람의 준비가 더 중요하다.’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않으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또 ‘기계가 멈추더라도,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찾아보고,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써 봅시다.
Copyright ⓒ 국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국제신문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
QR을 촬영해보세요. [창간기획] 낙동강 하구 0.9℃의 경고
-
QR을 촬영해보세요. 네이버 메인에서 국제신문 구독하기
3
국제신문 헤드라인
더보기
국제신문 랭킹 뉴스
오후 4시~5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